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김려령 작가의 소설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 이한 감독의 영화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을 대상으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변형 과정을 분석하여, 포스트IMF시대 가족해체 및 ‘개인화’를 둘러싸고 상이한 서사적 대응이 공존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문화정치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개념에 대한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원작에서 출발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마리-로르 라이언의 서사학적 관점인 ‘트랜스픽셔낼러티(transfictionality)’를 참조하였다. 소설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은 가족해체라는 실존적 조건을 받아들이는 ‘개인화’의 두 가지 양상을 드러낸다. 소설 『완득이』는 ‘자기 발견’을 통해 가부장 중심의 가족로망스를 벗어나 친밀한 개인들의 동행과 같은 느슨한 가족 유대를 보여주었다. 소설 『우아한 거짓말』은 철저히 고립된 자신을 발견하는 청소년의 이야기를 통해 ‘고통의 개인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남겨진 자들의 애도가 불가능함을 서늘하게 그려냈다. 한편, 영화로 전환된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은 가족 해체에 직면한 가족 구성원들이 이에 맞서 가족을 재발견하고 복원하는 서사를 보여 주었다. 영화 <완득이>는 다문화 정체성을 통해 가족공동체의 확장을 도모하였고, 영화 <우아한 거짓말>은 남겨진 가족들이 슬픔 속에서도 ‘자살생존자’로 살아남아 자신들의 애도를 완성하였다. 위 소설의 스토리월드는 청소년 개인의 ‘자기 발견’에, 영화로 전환된 스토리월드는 ‘가족을 재발견’하는 데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스토리텔링의 변형, 특히 서사구조의 재구성(‘수정 modification’)을 통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매체 전환 텍스트들 간의 관계를 ‘충실한 재현’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은 물론 상반된 주제와 세계관을 보여 주고 있다. 즉 ‘인물의 등장’이라는 기준점을 제공하되, 원작에서 출발하여 매체를 전이하면서 스토리텔링을 변형시킴으로써 원작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이질적인 목소리들을 생성하여 다성적 스토리월드로 개방하였다. 가족해체와 개인화를 둘러싸고 불확실성이 증폭하는 포스트IMF시대에, 이와 같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의해 생성된 다성적(多聲的) 스토리월드는 개인의 자유/위험과 공동체에의 안주라는 이질적인 욕망을 경험하도록 이끈다. 이는 ‘횡단, 초월, 변형’을 근간으로 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문화정치적 함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focuses on Wandeuki and Elegant Lies - novels written by Kim Ryeo-reong and adapted into the film by Director Lee Han; this thesis analyzes the process of storytelling being transformed as the media is converted. Also, this thesis discusses cultural-political implications of transmedia storytelling where different narrative responses coexist concerning post-IMF family disorgan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First of all, this thesis critically reviews existing discourses on the concept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refers to ‘transfictionality’ the narratological concept of Marie-Laure Ryan in order to look into media conversion storytelling that starts from original novels. The novels Wandeuki and Elegant Lies show two aspects of “individualization” that adopts existential conditions of family disorganization. Wandeuki deviates from patriarchal family romance through self-discovery and exhibits loose family bond, which is something similar to companionship of close individuals. Elegant Lies shows individualization of pain by portraying a teenager who found herself completely isolated, while showing that it is impossible for the people left behind to mourn. On the other hand, director Lee Han’s films <Punch(the English title of Wandeuki)> and <Thread of Lies(the English title of Elegant Lies)> show stories in which family members, who are confronting family dissolution, rediscover and restore their families against family dissolution. The film <Punch> promotes the expansion of family community through multicultural identity, and the film <Thread of Lies> completes condolence of the people left behind by having the remaining families survive as survivors of suicide. The storyworld of the novels puts emphasis on ‘self-discovery’ of individual adolescents, while the storyworld of the movies puts emphasis on ‘rediscovery of family’. Through transformation of storytelling - especially the redesigning of narrative structures called “modification” - transmedia storytelling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converted texts is far from “faithful representation,” but rather, shows conflicting themes and perspectives. With a reference point of ‘the emergence of character’ transmedia storytelling, which is predicated on the original work but aims to free itself from the original work by transforming storytelling through media conversion, opens up polyphonic storyworld by creating heterogeneous voices. In the post IMF-era, where uncertainty mounts over family dissolution and individualization, polyphonic storyworld created by transmedia storytelling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disparate desires over individual freedom/risk and complacency toward community. We can call this the cultural-political implic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based on transferring, transcednding, and transfo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