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고선의개념은고대그리스에서부터덕과행복의완전한결합으로정의된다. 그 런데 칸트는 이러한 완전한 결합이 과연 의무로서 우리에게 명령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칸트는 최고선의 촉진과 추구를 말한다. 본 논문은칸트최고선개념의이와같은두가지관점을, 그를둘러싼문맥과함께분명 히 한다, 칸트는 에피쿠로스주의와 스토아주의의 최고선 개념을 비판한다. 두 학파는 최고선이 감성계에서 실현 가능한 것으로서, 의무로 여겼기 때문이다. 따라서 칸트의 내적 문맥은 최고선의 현실성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하지만 동시에, 최고선 개념의 조건인 최상선 즉 덕은 최고선의 가능한 실현 또한 명령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최고선 개념은 두 개의 최고선 개념으로 구별되어 정립된다. 하나는 최고의 파생된 선 이고, 다른 하나는 최고의 근원적 선이다. 전자는 감성계에서 가능한 최고선을 의미하 고, 후자는 감성계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요청으로서의 최고선을 의미한다. 칸트의 이 러한 구별은 중요하다. 칸트 최고선 이론에서 의지의 규정근거 문제는 이러한 구별을 통해서 적절하게 설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칸트 최고선 이론에서 의지의 규정 근거 문제에 관해, 본 논문은 이러한 구별과 그것을 둘러싼 문맥에 주목함으로써, 칸트 의 최고선 개념은 최고의 파생된 선의 입장에서 보면 의무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최고 의 근원적 선의 입장에서 보면 의무로서 이해될 수 없다는 점을 구체화한다.


The highest good concept is defined as the perfect coincidence of virtue and happiness. But Kant throw a doubt on such coincidence. Conversely, he states that “we ought to strive to promote the highest good”. This study treats these two points in his context. He criticizes the highest good concepts of the Epicurean and the Stoic. The two opinions understand the highest good concept as duty that can be attained in this world. Accordingly, Kant limits the idea in reference to perfect coincidence of virtue and happiness. However, because again, the practical idea postulates the possibility of such coincidence, here, Kant’s highest good concept is distinguished. The first is the highest derived good, and the other is the highest original good. The former is possible only in this world, and the latter is only possible only in the intelligible world. This important distinction by Kant provides a proper explanation of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ground of pure will. Namely, the highest good concept must be understood as duty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ghest derived good, but not as duty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ghest original g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