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영양다목적댐 건설 저지 활동의 과정에서, 지역 주민에 의해 개최된 ‘장파천 문화제’의 문화적 실천 방식 특히 민속의 역동성을 포착, 설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대규모 국책사업인 영양댐 건설 사업이 추진되자 해당 지역 주민은 강하게 반발했으며, 영양댐 반대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선다. 댐 건설로부터 장파천을 지킨다는 목적으로 기획된 장파천 문화제는 2012년 처음 개최된 이래, 영양댐의 완전 백지화가 발표된 2016년까지 총 5회가 열렸다. 절박했던 투쟁의 과정에서 주민들은 이 문화제를 통해 지친 심신을 위로받고 내적 결속을 다졌으며, 지역 대내외에 장파천의 생태적 가치와 의미를 알릴 수 있었다. 특히, 이 글에서는 장파천 문화제의 중심 연행이었던 ‘장승제’를 비롯한 민속 관련 프로그램의 수용 경로와 과정에 주목한다. 이 문화제에서 수몰 위기에 처한 지역과 마을 공동체를 지킨다는 의미로 기획․실천된 장승제는, ‘80년대’ 대학을 중심으로 활발했던 저항 문화가 귀농․귀촌인 그리고 연출가 장소익을 매개로 수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80년대에 저항의 상징으로 재발견․재구성된 민속이, 시공간을 초월해 직접 장파천 문화제로 이어진 것은 아니다. 80년대 저항 문화로서 민속의 지역사회 전파 경로와 과정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주도했던 장소익이나 귀농․귀촌인들의 개인적 경험이나 활동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송하마을 토착 주민의 동의와 참여, 그리고 문화적 수용성 역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다소 복잡다단한 경로를 통해 재구성된 장파천 문화제의 주요 민속 관련 프로그램의 성격과 의미를 해명함과 동시에, 이러한 공동체 민속이 지닌 대안 문화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한편, 영양댐 건설 백지화와 더불어 장파천 문화제 역시 중단되었지만, H 마을의 ‘주산 산신제’처럼 현재 진행형으로 지역사회에 다양한 사회․문화적 파급효과를 낳고 있다. 예를 들면,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조성 반대 활동의 맥락에서 기획․실천된 주산 산신제는, 장파천 문화제의 전례에 따라 앞의 귀농․귀촌인들에 의해 제안된 것이다. 주산 산신제 실행 이후 H 마을 주민 사이에서는 ‘산신이 보내준 수리부엉이’ 등과 같이 산신과 관련한 민속적 세계관과 상상력을 자극․강화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또한, 풍력발전기가 주산에 들어서는 것을 막아낼 수 있었던 원인을 주산 산신의 영험함과 관련짓는 설명방식이 H 마을에서 관찰되는데, 이처럼 주민들이 자신의 경험을 민속적인 방식으로 설명․해석하는 모습은 매우 주목해야 할 문화적 현상이다. 결론적으로 ‘80년대 민속-장파천 문화제-주산 산신제’의 흐름 속에서 관찰되는 민속과 관련한 현상은, 현대 한국사회 문화적 역동성의 일면을 해명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ultural practice of the ‘Jangpacheon Culture Festival’ planned and fulfilled by the residents during the process of interrupting the construction of the Yeongyang Multipurpose Dam, especially focusing on the dynamics of folklore. As a national large-scale project, the construction of the Yeongyang Dam was being promoted, and those residing in the affected region objected to this project severely and organized an anti-Yeongyang Dam Construction Committee to cope with it actively. This cultural festival was held five times in total from the first time in 2012 when the residentsanti-Yeongyang Dam Construction, up to 2016 when the Yeongyang Dam plan reportedly underwent a setback to ‘square one’. In the process of that fierce struggle, the residents were consoled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and banded together via the Jangpacheon Culture Festival. They also could inform those living in different areas as well as locals of the ecological value and meaning of the region as represented by Jangpacheon. In particular, this researcher pays attention to ‘Jangseung’, the main performance of Jangpacheon culture festival, and also programs associated with folklore. It can be said that the Jangseung ritual selected within the context of the Jangpacheon Culture Festival was adopted as a symbol of the saving of the region and the local community, which was facing the risk of being flood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dam; it was intended to foster acceptance of the resistance culture that had been prevalent in universities in the 80s by those returning to farming or rural areas and also by director Jang So-ik. Of course, it is not true that community folklore rediscovered and reorganized as a symbol of resistance in the 80s directly led to the Jangpacheon Culture Festival,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o understand the rather complex routes and processes of transmitting the 80s resistance culture to loc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s important the personal experiences or activities of either Jang So-ik or those returning to farming or rural areas. Moreover, we should not disregard the consent and participation as well as the cultural competence and acceptance of the native people in Songha village. Meanwhil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ommunity folklore represented by Jangseung formed a cultural mechanism to induce agreement and active participation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cultural festival. Moreover, with ‘Jusan Sansinje’ or such, this researcher examines the point that even if the end of their activity to interfere with Yeongyang Dam construction resulted in suspending the transmission of Jangpacheon Culture Festival, it has brought a variety of social and cultural ripple effects on the regional society. ‘Jusan Sansinje’ planned and practiced in the context of an activity against the construction of the large-scale wind-power plant complex was suggested by the aforementioned people who were returning to farming or rural areas according to the precedent of the Jangpacheon Culture Festival. After performing Jusan Sansinje, in the process of the fight against the wind power plant complex, the residents in H village tended to arouse and strengthen the folklore world view and imagination related to the mountain God, for instance, ‘eagle-owls sent from the mountain God’, and this author deems that the phenomena are very much noteworthy in terms of folklore. In conclusion, the phenomena related to the folklore observed within the flow of the 80’s folklore-Jangpacheon Culture Festival-Jusan Sansinje’ will contribute to helping us understand the part of cultural dynamic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also allowing us newly to recognize the potential and value of folkl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