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첫대면 장면에서 출현하는 침묵과 침묵 후의 발화를 중심으로 한국인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회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①침묵 횟수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 모어화자 보다 출현 횟수가 많고, 일본어 모어화자는 모어장면 보다 접촉장면에서 침묵의 출현이 더 많았다. ②시간대 별로 침묵 횟수를 본 결과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도 일본어 모어화자도 총20분의 대화에서 중후반 지점에 침묵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접촉장면은 초반에서 중반 지점에 가장 많이 나타났다. ③침묵 후 발화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도 일본어 모어 화자도 자기개시와 질문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의견 추가, 정보 추가가 나타났다. 특히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평가 발화는 접촉장면에서만 나타났다. 침묵은 반드시 회화의 흐름에 지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정보 교환이 활발한 대화 시작 초기 보다 화제가 점점 없어지는 시간대에 나타나기 쉬운 것이 명백해졌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versation between Japanese learners and Japanese speakers, focusing on the silence and the utterance after the silence that appeared in the first meeting. As a result, Japanese learners appeared more often than Japanese speakers, and Japanese speakers stayed silent more often in contact situations than in native language situations. According to the length of silence by time zone, Japanese learners and Japanese speakers had the most silence between 10 and 15 minutes, and the contact scene was the most frequent between 5 and 10 minutes. After silence, Japanese learners and Japanese speakers showed the most self-disclosure and questions, followed by additional information on opinions. In particular, the Japanese speaker evaluation was only shown in the contact scene. Silence is not necessarily a hindrance to the flow of conversation, but it has become clear that it is easier to appear in a time when the topic is gradually disappearing than in the early days of the information ex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