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삼킴 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병행한 저항성 턱 벌리기 운동이 삼킴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S 병원에 입원한 환자 30명을 무작위로 나누어 8주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군은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하여 저항성 턱 벌리기 운동을 하는 그룹과 대조군으로 아무런 단서 없이 저항성 턱 벌리기 운동을 하는 그룹으로 나누었다. 중재 전과 중재 후에 침습-흡인 척도(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 기능적 삼킴 장애 척도 (Functional Dysphagia Scale, FD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삼킴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SPSS 22.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적 피드백을 병행하여 저항성 턱 벌리기 운동을 한 실험군과 아무런 단서 없이 저항성 턱 벌리기 운동을 한 대조군 모두 삼킴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룹 간 결과 비교에서는 시각적 피드백을 병행한 실험군의 삼킴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저항성 턱 벌리기 운동은 삼킴 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 증진에 효과적이었으며 시각적 피드백을 병행하였을 때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시각적 피드백을 동반하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figures out that training visual feedback in stroke patients with a swallowing disorder affects how to enhance the suprahyoid muscle more effectively and improve the pharyngeal function at the clinical of treatment with the swallowing disorder. Methods : 30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Jaw Opening Against Resistance Exercise with visual feedback or Jaw Opening Against Resistance Exercise without visual feedback.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Jaw Opening Against Resistance Exercise with visual feedback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Jaw Opening Against Resistance Exercise. each for isometric 10 times, isotonic 30 times a session, once a day, five times per week, over a 8 weeks Results :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total and pharyngeal stage Functional Dysphagia Scale(FDS), Penetration-Aspiration Scale(P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wallow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visual feedback. (p<.05),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Jaw Opening Against Resistance Exercise combined with visual feedback ar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dysphag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