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까말라데비의 저술과 전기, 그녀에 대한 역사적 평가 등의 문헌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까말라데비가 독립 이전에 개인 생활을 통해 보여준 도전적 젠더 의식과 여러 사회적 제약을 넘어 추진했던 여성운동, 까말라데비에게 미친 간디의 영향 및 양가적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까말라데비는 어린 나이에 결혼을 한 후 과부가 되었으나, 연애후 재혼했다가 남편의 불륜 등을 계기로 이혼 소송을 제기하여 당시로서는 매우 드물게 합법적인 이혼을 했다. 또한 그녀는 지방의회 선거에 여성의 입후보가 가능해지자마자 출마하였는데, 까말라데비의이러한 행보는 인간적 주체 의식, 젠더의 평등 의식을 바탕으로 한도전적 행동이었다고 할 수 있다. 까말라데비는 AIWC 창립 멤버였으며 이후 사무총장과 부회장, 회장을 맡아 활동했다. 그녀는 실질적인 여성 문제 해결을 위한 비전과 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강조하며 노동자와 농민, 여성의 문제를 연계하여 노동의 중요성과 그 결과를 개인이 평등하게 누릴 수 있을때 여성의 진정한 평등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비전은 기존의 AIWC 회장들의 추상적인 비전과는 달리 상당히 구체적이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1920년대부터 까말라데비는 간디의 사상과 활동에 깊이 공감하여간디가 추진하는 모든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전면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부터 간디와의 길항관계가 발생했는데, 이는 까말라데비의 사회당 활동과 이혼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 볼수 있다. 1930년대 말 간디가 까말라데비의 활동을 일시적으로 지지하기도 했으나, 이러한 갈등은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리 독립이 확정된 후 까말라데비가 간디에게 분리 독립을 막지 못한 책임을 물으며더욱 심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립 이후 국민회의가 정당으로 전환되는 것을 간디가 반대하였을 때, 이를 지지한 당원은 까말라데비 한 명뿐이었을 것이다. 독립 이후 까말라데비는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민간 기구를 설립하여 공예가의 경제적 자립과 인도의 전통문화 부흥에 남은 생을 바쳤다. 식민통치하 여성으로서 까말라데비는 개인적인 한계와 여성/남성으로서의 구분을 넘어 여성운동과 간디의 정치 활동에 동참하면서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추구하는 도전 정신을 발휘한 인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Kamaladevi’s life and connotations, focusing on her challenges towards gender consciousness, her involvement in women’s movements, and her ambivalent relationship with Gandhi, in spite of his influence. While Kamaladevi was a child widow, she was able to remarry, although her second marriage also ended in divorce. As soon as it was made legal, she ran for office in local council elections. Her personal life embodies her challenges towards traditional patriarchy, based on human agency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he was also a founding member of AIWC and served as secretary-general, vice chairman and chairman, during which period she emphasized economic independence of wome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labour. On the other hand, Kamaladevi’s relationship with Gandhi has been ambivalent throughout history, despite her being deeply sympathetic to his ideas and activities since the 1920s. While she was a staunch supporter of his movements, including his opposition towards the INC’s transition to a political party following Independence, she was also critical of his views such as his standpoint towards Partition. After independence, Kamaladevi departed the political arena and devoted the rest of her life to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craftsmen and revival of traditional Indian culture. In conclusion, Kamaladevi’s contribution to women movements and politics reflect her spirit of challenge in pursuing human rights beyond women and men’s distin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