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세기 프랑스 기업 문화의 특징은 기업가의 권위와 위계화된 생산 질서로 요약된다. 기업가들은 필요한 노동력을 유치하고 관리하기 위해 산업 온정주의를 실천하면서 공장에서의 권위를 강화해 나갔으며, 생산 과정에서부터 노동자들의 일상까지 모든 것을 통제했다. 또한 테일러주의의 수용으로 기술에 기반을 둔 기업가들의 권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갔다. 그러나 무한한 기업가의 권위에 기초한 일방적인 관리 시스템은 노동자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1936년 총파업을 통해 대의제 기업 민주주의의 제도화라는 첫걸음을 뗄 수 있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기업위원회의 제도화를 통해 노동조합에게 유리한 새로운 노동자 대표성에 기초한 공장 민주주의 시스템을 만들 수 있었다. 그러나 공장에서 기업가들의 권위는 여전했으며, 테일러주의로 촉발된 노동분쟁은 끊이지 않았다. 결국 1968년의 총파업으로 두 번째 사회적 갈등이 폭발했을 때, 급진적 노동자들은 기업의 대의제 시스템을 뛰어넘기는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했다. 자주경영 운동은 유토피아적 상상력의 현실화를 위한 짧은 시도로 끝맺었지만, 이 운동은 대의제 기업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The cultural characteristic of French firms in the 20th century is, so to sum up, the authority of entrepreneurs and the hierarchical production order. Entrepreneurs practiced an Industrial Paternalism to mobilize and control a workforce and this permitted them to regulate all from the production process to workers’ everyday life. In accepting the Taylorian system, they reinforced their technical authority. But the unilateral control system based on limitless authority brought about workers’ protest. Finall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cy in the workplace could take the first step forward after the General Strike of 1936. In the second place, in the post-Second World War period, the official creation of Comité d’entreprise led to a Company Democracy system based on the new representation of workers, advantageous for Trade Unions. But Entrepreneurs’ Authority still persisted and Taylorian Methods constantly caused labor disputes. When a Social conflict has erupted in 1968, radical workers try to seek a new alternative to overcome the representative system in the workplace. Though the Self-Management movement was finished by a brief attempt for the realization of the Utopian imagination, this movement provided the direction to overcome the limit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n the work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