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에 관한 교수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탐색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온라인 문학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수자 4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참여자들은 온라인 수업이 갑자기 도입되면서 문학 수업의 특성에 맞는 온라인 수업 방식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대면 수업에 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였다. 학교의 지원에 있어 소프트웨어 지원은 조금 나았지만 하드웨어 지원은 상당히 부족한 편이었다. 또 참여자들은 온라인 수업을 맞춤 수업이지만 소통이 어려운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온라인 문학 수업에서 나타난 문제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식은 대부분 교수자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이번 면담은 문학 수업의 핵심인 ‘참여’와 ‘소통’을 온라인 수업 공간에서 구현하기 위해 참여자들이 펼친 고군분투의 기록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면담의 결과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온라인 문학 수업 방식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인프라나 강의 규모 등의 요인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 본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직급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는 지원 방식도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온라인 문학 수업에서의 소통을 지원하고 촉진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과 교수․학습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온라인 문학 수업의 과정에서 교수자가 저작권 문제에 방해받지 않고 적절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고, 자신의 저작권이 침해받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aims to specifically examine professo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online literature classes at universities and explore the conditions necessary to improve online literature classes at univers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four professors who had experience in conducting literature classes online at universities. Interview participants had difficulty choosing an online class method that matched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classes with the sudden introduction of online classes, and spent more time and effort than face-to-face classes. Software support was a little better in supporting university, but hardware support was significantly lacking. Participants also recognized that online classes are customized classes, but they are difficult to communicate. And the way to solve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that emerged in online literature classes was to devote most of the professor's time and effort. Nevertheless, participants have become more or less positive about online literature classes than before in 2020. This was a change in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new experience of online classes, which had been vaguely thought. Meanwhile, the interview resulted in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improving online literature classes at universitie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mprove factors such as infrastructure and lecture size that affect determining online literature teaching methods. Second, the support, which is centered on the university headquarters and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should also be improved.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tform and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upport and promote communication in online literature classes. Fourth, in the online literature clas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vice that allows professors to use appropriate materials without being disturbed by copyright issues and prevents their copyrights from being infrin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