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해방 이후 한치진의 사회 구상에 초점을 맞추어 자유주의를 표방한 지식인이 탈식민으로 주어진 자유를 어떻게 당대의 현실에서 규율하고 조직하려 했는지 보이고자 한다. 당대의 혼란한 상황에서 개인의 자유는 통치가능한 방식으로 조직되어야 했다. 또한 분단이 가시화되면서 자유는 민족적 통합이라는 문제설정과 결부되지 않을 수 없었다. 한치진은 두 가지 차원에서 자유의 조직화를 구상했다. 하나는 지식인에 의한 계몽과 개인의 각성이었다. 다른 하나는 경제생활에서의 협동과 균분이었다. 인민개로는 두 차원을 종합시키는 방법이었다. 개인의 자유는 노동과 생산에 정향되어야 했고, 역으로 노동을 통해 개인들은 민주주의적 시민으로 거듭나야 했다. 노동은 시민의 의무이자 계몽의 도구였다. 지식인 주도의 계몽을 강조하는 한편, 경제 민주주의와 인민개로를 요청하는 담론은 이후 한국의 자유주의적 지식인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되풀이 되었다. 해방기 한치진의 저작은 그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After the unexpected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a chaotic political situation on the pretext of liberty seized in Korea. In order to build a post-colonial state stably, individual freedom had to be regulated. The intellectuals who favored liberalism thought that freedom must be respected but controllable. As a prominent scholar, Han Chi-jin authored a few writings about the problem. According to Han’s works, liberty must be guided and restrained by intellectuals and self-discipline. On the other hand, economic democracy was emphasized to expand individual freedom and to promote industrial participation of people. Cooperation in production and equality in distribution was not only institutional but also moral issue. Han’s works shows the prototype of the liberal discourse after Korean liberation. The overemphasis on the enlightening role of intellectuals and the claims on the construction of impartial, efficient economic system became the repertoire of liberal discourse which had opposed authoritarian government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