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제의 침략전쟁과 식민지로부터의 해방, 분단과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전쟁기(1937~1953년) 한국의 새로운 여성 주체 중 사무직 여성의 대표적 사례인 조선식산은행 여자행원을 중심으로 이들의 사회적 진출과 존재 양상, 젠더 인식을 살펴보았다. 조선식산은행 여자직원은 고원으로 채용되기 시작했고,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일본인 남자행원의 징병〔입영〕으로 인한 인력 부족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여자직원의 대폭 증원이 이루어졌다. 1943년 6월 1일 ‘여자행원’ 직급이 새로 만들어졌고, 여자행원의 신규 채용도 늘어났다. 여자행원 직급은 해방 이후에도 존속되다가 1991년에 폐지되었다. ‘여자’라는 생물학적 성차(sex)가 사회적 성적 차별(gender)의 기제로 자리잡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식산은행 여자행원은 중등학력 이상의 고학력 ‘엘리트’ 여성으로 대부분 재조 일본인 여성이었다. 이들은 식산은행이라는 사회와 안락한 가정의 울타리 안에서 전쟁·계급·민족·젠더의 모순구조를 잠시 접어두고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고 있었다. 해방 이후 식산은행은 과도기적 상황에 놓여 있었고 1949년까지는 본·지점의 필요에 따라 임의채용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여자행원 채용이 증가했다. 일제말 전시체제기 여성의 사회진출이 확대된 분위기는 해방 후에도 연장되었고, 인플레이션과 산업의 단절로 경제적 상황이 악화되면서 취업요건을 갖춘 여성들은 취업전선에 나서야 했다. 독립국가 건설과정에서 ‘보통선거권’ 문제, 임금 불평등 문제, 봉건적 가족제도 등을 둘러싼 논의에서 여성의 각성과 능력 향상을 전제로 남녀평등권의 실현을 주장하는 소극적 인식을 가졌고, 임금 불평등에서의 남녀 차별을 인정했지만 봉건적인 가족·사회질서에 대해서는 저항의식을 가졌다. 한국전쟁기 식산은행의 여자행원수는 다시 증가했다. 전쟁으로 남성의 퇴직이 많아지면서 그를 대신한 것은 여성이었다. 전쟁기 식산은행의 여자행원들은 전쟁 일선에서 싸우는 장병을 위해 매진하자는 결의를 보였지만 그들은 언제든지 다시 가정으로 복귀하여 현모양처의 역할을 다하고자 했다. 식산은행 여자행원의 위상과 존재 양태는 한국 근대 여성의 성장과 한계를 보여주는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일본제국주의가 만들어낸 전시하의 여성상 ‘모성과 열등노동력’의 역할을 수용하였다. 해방과 분단, 한국전쟁 시기에는 유능한 보조인력으로서 ‘현모양처’라는 목표를 수용하면서 사회적 차별을 무마하고 합리화했다.


Emergence and Social Advancement of White-Collar Women and Gender Perception in Pre- and Post-Independence wartime period(1937~1945)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social advancement and patterns of female clerks at Joseon Shiksan Bank, who were the typical cases of white-collar women in the wartime period (1937-1953) that consists of the Japanese imperial invasions, independence, division and the Korean War. Joseon Shiksan Bank began employing women as Gowon. After the Second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Bank employed more women to make up for the vacancies created by the Japanese man who had to leave for military conscription. In June 1st of 1943, the Bank created a position called "female clerk", a lower-level position differentiated from the regular clerk, and subsequently hired more women as female clerks. The "female clerk" position was abolished in 1991. The biological difference of women became the base of the gender discrimination within the society. Most of the female clerks at Shiksan Bank during the colonial era were "elite" Japanese women residing in Joseon, who have completed a minimum of middle school education. Shiksan Bank hired a greater number of female clerks after the independence. Women entering the workforce became a trend in the late colonial war time era, and more women had to secure employment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The female clerks of the Shiksan Bank argued for gender equalit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omen build their capacities and enlighten themselves in the context of the newly established nation. They conformed to the wage gap between the male and female employees but resisted feudalistic familial and societal orders. The number of female clerks increased greatly due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However, the female clerks were determined to return to domesticity once the war is over and fulfill their role as wise and diligent housemakers. The status of Shiksan Bank's female clerks and the varieties amongst them embody the advancement of modern Korean women and the limits they had fa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