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류는 불확실성이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기아, 난민, 질병, 환경문제는 인간의 삶뿐만 아니라, 국가의 외교정책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국제적 이슈로 부상하는 양질 전화의 기폭제가 된다. 인류 역사상 대규모 전쟁과 재난 중 상당수는 다양한 기저 요인들의 누적과 그러한 요인들을 재난으로 전이시킨 ‘사소한 사건’이 연결된 결과였다. 본 연구는 이를 복합 안보 이슈로 정의하고 이에 대한 대응 모델을 제안한다. 복합 안보란 기존의 안보인 경성 안보에 연성 안보와 인간 안보를 통합하는 개념이며, 대응 모델이란 어떤 사건이 거대 사건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단기적 대응 전략의 모색에 활용될 수 있는 정책 결정의 틀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시각에 바탕을 둔 복합 안보 대응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점증하는 불확실성과 현실주의적 사고가 귀환하고 있는 우리 시대의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Men are faced with uncertainty. Starvation, asylum-seekers, disease, and environmental issues act as catalysts of complex security threat, affecting a nation’s diplomatic choices as well as the life of people. Many wars and disasters, those are marked in history due to their massive scale, were caused by a ‘tiny event’ that sparked arsenal of various issues accumulated within society. This research defines such issue, which is characterized by its embeddedness and accumulative nature, as a complex security issue, and proposes a policy framework. By using the term ‘complex security’ this research argues that security is a composite concept consists of various issues including diplomatic affairs, environment, economic-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llow citizens. And by using the term ‘policy framework’, this research proposes a model, which can be used to achieve long- and short-term security aim in managing such issues before they interconnect and become a threat of a great scale. This research argues that such framework will contribute enhancing Korean government’s coping capability against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 in an era of growing uncertainty and the ‘return of realism’ among great pow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