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매우 중요한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국어과에서 이를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역량인 ‘접근과 선택’, ‘이해‧분석과 평가’, ‘의사소통과 생산’, ‘공유와 참여’, ‘감상과 향유’, ‘반성과 성찰’에 대해서 2015 개정 국어과 초등학교, 중학교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반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접근과 선택’에는 3개, ‘이해‧분석과 평가’에는 6개, ‘의사소통과 생산’에는 3개의 국어과 성취기준이 분포되어 있었다. ‘공유와 참여’, ‘감상과 향유’, ‘반성과 성찰’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에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성취기준의 연계성 또한 현저하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기 교육과정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한 역량 및 하위 요소의 학년(군)별 위계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위계화를 통해서 각 학년군에서, 그리고 각 하위 영역에서 보다 중점을 두어 담당해야 하는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취기준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that digital media literacy is a very important competency for students who will live in the future society, it was attempted to explore ways to cultivate i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analyze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on ‘Access and selection, Comprehension‧Analysis and Evaluation, Communication and Production, Sharing and Participation, Appreciation and Enjoyment', ’Self Reflection’ which are the sub-competences of digital media literacy. There were 3 achievement standards distributed in ’access and selection’, 6 in ‘Comprehension‧Analysis and Evaluation’, and 3 in ‘Communication and Production’. There were no achievement standards for ‘Sharing and Participation’, ‘Appreciation and Enjoyment’, and ‘Self-Refle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inkage of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digital media literac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as also remarkably insufficien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e next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the hierarchies of competencies and sub-elements related to digital media literacy by grade. Through hierarchicaliza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educational content to be in charge in each grade group and in each sub-area, and to add or modify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