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경력메타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여성근로자의 학습지원과 경력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여성정책연구원의 제7차 여성관리자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2,347명의 사례를 PROCESS macro 3.5,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한 결과 모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근로자의 무형식학습은 경력메타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여성근로자의 경력메타역량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성근로자의 무형식학습은 경력메타역량을 매개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실천방안을 위한 시사점으로 개인 차원의 과제와 조직 차원의 심리적·제도적 지원방안을 제안하였으며, 후속 연구로 관련 변인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과 여성의 일반특성에 따른 종단연구, 조직 수준을 반영한 선형모형분석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meta-compet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female workers. To accomplish the purpose, PROCESS macro 3.5 and AMOS 18.0 analysis program were conducted using panel data set of 2,347 taken from the Korean Women Manager Panel of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firmed that they are appropriat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formal learning of female workers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meta-competency. Second, career meta-competency had a direct effe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Lastly, career meta-competency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nd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such as estimating of other variables and conducting the longitudinal analysis in the next period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