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탈북청소년의 국어학습 실태를 확인하고 이들을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탈북청소년이 모어 화자로서 한국에서 경험하는 국어학습의 환경, 진단, 실태 및 결과를 다루되 특히 이들의 국어 기능이나 문식성에 초점을 맞춘 실증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70여 편의 선행연구 중 8편의 주요 연구를 선별하여 연구의 대상과 방법, 교육 프로그램과 목표, 측정 도구, 국어학습 상의 특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탈북청소년의 국어학습 수준은 과거의 학습경험과 언어문화적 차이로 인해 남한청소년에 비해 낮은 수준이나 모어 화자나 모국어 학습자로서의 기본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 작업을 통해 향후 탈북청소년의 국어학습 연구를 위한 세 가지 시사점(탈북청소년을 모어 화자이자 모국어 학습자로서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음, 문헌연구가 아니라 탈북청소년의 실제 국어학습 수준과 특성을 진단하는 실증 연구가 시급함, 통일을 대비해 미래 국어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탐색하는 연구와 별개로 현재 국내에 존재하는 탈북청소년을 실제로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among adolescent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dealt with the environment, diagnosis, reality, and results of Korean learning experienced by adolescent defectors from North Korea, and analyzed empirical studies focusing on their Korean skills and literacy levels. Among 70 studies, eight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subjects and methods, educational programs and goals, measuring tools, and characteristics and result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n these prior studies, adolescent North Korean defectors showed lower levels of learning performance in Korean than South Korean adolescents because of their past learning experiences and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However,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ir basic capabilities as mother tongue speakers and native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three implications were proposed for futur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