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악셀 호네트(Axel Honneth)의 ‘인정 이론’에 기반하여 초등학생들의 타인으로부터의 ‘인정’과 ‘무시’ 경험이 학생의 자기 인식에 주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학교의 교실은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간의 관계를 통한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공간이다. 그 중 본 연구자가 담임을 맡은 5학년 학생 A의 결정적 사건으로 드러난 또래 집단의 갈등 양상은 학생 상호 간의 ‘인정’과 ‘무시’, 그로 인한 학생 개인의 ‘자기 인식’을 표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학생들의 이야기를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비추어 해석하는 내러티브의 분석(Analysis of narrative) 방법에 따라 탐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 간의 인사는 타인으로부터의 ‘인정’과 ‘무시’를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며, 사랑, 권리, 연대라는 호네트의 사회적 인정 관계 구조에 따른 ‘무시’ 경험은 본 연구에서 배신, 제외시키기, 모욕주기의 형태로 나타났다. 특히, ‘지인 뺏기’라는 의도적이고 적극적인 따돌림의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생들 간에 표출된 갈등의 내면에는 과거에 손상된 자기 관계를 극복하고 ‘인정’을 재획득하기 위한 ‘인정 투쟁’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 사이의 갈등을 매개로 ‘인정’과 ‘무시’경험을 탐구한 본 연구는 현장 교사들이 학생들 간의 다양한 갈등 및 문제 행동을 학생의 자기 정체성 실현을 위한 투쟁이라는 호네트의 ‘인정 이론’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보는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초등학교 현장의 실천적 맥락에서 ‘상호 인정’을 위한 교육의 단초를 제공한다.


Based on Axel Honneth's ‘Theory for Recogn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self-recogni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recognition’ and ‘ignoring’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others. The one incident and conflict pattern within a peer group in the fifth grade class in which the researcher is in charge, expresses the process of ‘recognition’ and ‘ignoring’ among students and the ‘self-recognition’ of the students. Thus, this was explored with a Critical Events Narrative Analysis by Woods. As a result, greetings ar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recognition’ and ‘ignoring’ from other students. Also, according to Honneth's social recognition relationship structure of love, rights and grant of social valu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gnoring’ experience appeared in the form of betrayal, exclusion and insult. In particular, the intentional and aggressive bullying, called “taking away friends from others”, frequently occurs among students. Finally, we identified a struggle to overcome the damaged self-relationship from others and gain ‘recognition’, or ‘Struggling for Recognition’. This study, which explores the experience of ‘recognition’ and ‘ignoring’ between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is not only an attempt to look at the school site from the perspective of Honneth's ‘Theory for Recognition’, but also an opportunity to interpret various conflicts and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the perspective of a struggle to reacquire a student's self-identity. Ultimately,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provide a intellectual foundation for students’‘Mutual Recognition’to researchers and field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