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synthesize years of research comparing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L2 writing instruction via meta-analytic approach.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sought to explore the overall effect of computer-assisted L2 writing instruction, as well as its moderating factors (e.g. context, treatment). A total of 29 primary studies, including 23 journal articles and six disserta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uter-assisted language L2 writing instruction has a medium effect among between-groups (Hedge’s g= .65) and a high effect among within-groups (Hedge’s g= .99), indicating that technology is an effective tool for enhancing L2 writing. The moderator analyses indicated that factors related to social learning and social collaboration (e.g. peer feedback, bulletin) tended to yield higher effect sizes for between-group comparisons. With respect to within-group contrasts, on the other hand, all effect sizes for moderator variables were high. Drawing upon findings from the current meta-analysis, we offer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computer-assisted L2 writing instruction.


이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제2 언어쓰기 영역에서의 컴퓨터 활용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컴퓨터기반 제2 언어 쓰기 교수법의 효과와 이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재변수들을 탐색한다. 메타분석의 기준에 적합한 총 29개의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컴퓨터기반 제2 언어 쓰기 교수법은 중간 크기의 집단간 효과(Hedge의 g= .65)와 큰 크기의 집단내 효과 (Hedge의 g= .99)를 나타냈다. 따라서, 컴퓨터 기반 교수법은 제2 언어쓰기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중재변수 분석에서는 동료피드백과 같은 사회적 협동변수는 집단 간 효과에서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집단간 효과에서 투입된 모든 변수들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