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포퓰리즘 수요측면에서 대중의 이념 정향과 포퓰리즘 성향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주관적 이념평가와 정당지지가 포퓰리즘 성향, 즉 반엘리트주의, 인민 중심주의, 반다원주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경제적 요인과 민주주의 인식 및 정치참여 방식 등을 통제변수로 설정하고, 독립변수 중 이념은 극보수・보수・중도・진보・극진보로 세분화하였다. 자료는 전국 단위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이념 정향과 포퓰리즘 성향 간의 강력한 친화성을 확인하였다. 보수 이념(특히 극보수)과 보수정당 지지는 반엘리트주의와 반다원주의에, 그리고 극진보 이념과 진보정당 지지는 인민 중심주의와 반다원주의를 추동하였다. 그리고 세 가지 성향을 종합한 결과에서는 보수(특히 극보수)와 극진보 이념이 포퓰리즘 성향을 결정하는 요인이었다. 둘째, 성별(여성)과 연령을 제외한 사회경제적 변수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포퓰리즘 성향은 민주주의 만족도, 정부 신뢰, 외적 효능감, 투표 및 비투표 활동에 의해서 결정되는 다차원적 성격을 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s ideological orientation and the populist attitude in terms of demand of populism. The influence of subjective ideology evaluation and political party support on anti-elitism (AE), people centrism (PC) and anti-pluralism (AP) are analyzed in detail. To research this, the socioeconomic factors, democracy recognition and the method of political participation are set as control variables, and the ideologies are classified into extreme conservative, conservative, moderate, progress, and extreme progress. The data are collected through nationwide online surve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owerful affinity between ideological orientation and populist attitude are confirmed. The support for conservative ideology (especially extreme conservative) and the conservative party are affecting the AE and AP, and the ideology of extreme progress and support for the progressive party are influencing the PC and AP. When putting together 3 types of attitude, the conservative (especially extreme conservative) and extreme progressive ideology ar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populism attitude. Second, There was no impact of socioeconomic variables except gender (female) and age. Third, populist attitude have a multidimensional nature determined by democratic satisfaction, government trust, external efficacy, voting and non-voting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