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문학적 비유로 본 삶의 대한 성찰연구 -화엄경 이세간품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여기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내용은 크게 3가지 관점이다. 먼저 제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 텍스트인 『화엄경』 「이세간품」의 중심사상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여기서의 핵심은 ‘이세간’에 담긴 의미는 세간에 있으나 세간에 물들지 않는 청정심이다. 이것은 ‘세간에 머무르되 허공과 같이 걸림이 없고, 연꽃이 물에 젖지 않는다는 비유로 표현된다. 따라서 이세간이란 연꽃이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것처럼, 우리의 마음은 본래 청정하여 세간을 초월해 있다고 한 연꽃경계로 해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제Ⅲ장의 「이세간품」에 담긴 문학적 이미지를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화엄경』 「이세간품」에는 불교의 핵심교리 내용들이 화엄수행 단계인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 등의 화엄수행계위가 12분교의 형식으로 유려한 언사와 문학적 비유, 이미지들로써 표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제Ⅳ장에서는 문학적 비유로써 『화엄경』 「이세간품」에 담긴 삶에 대한 성찰을 규명해보았다. 이 품의 중심이 되는 설주 보현보살은 다양한 삶에 대한 유익한 내용들과 「이세간품」에 담긴 종교적 성찰의 핵심을 교설하고 있다. 특히 보현보살은 보혜보살이 ‘보살의 수행과 경지 등에 대한 2백가지 질문’ 하나하나에 대해서 각각 10가지 항목으로 모두 2천 가지로 설명해주고 있는데, 이들 수행계위 중에서 우리 삶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윤리덕목인 10가지 계와 52수행계위, 육바라밀과 사무량심이다. 왜냐하면 이들 내용은 우리가 삶에서 실천해야 될 윤리 덕목이기 때문에 『화엄경』 「이세간품」에 담긴 물질적ㆍ정신적인[이론적] 측면의 핵심 사상들을 다양한 화엄 보살도 등으로써 성찰하고 계발해 자기 수행의 원천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실천 행은 나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이 세간에 있으나,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깨끗하고 평화로운 삶으로 인도하는 수승한 성찰의 지침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핵심은 결국, 우리 모든 사람들이 세간에 있으나, 모든 번뇌 망상에 물들지 않고 갈등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행복한 일상을 살도록 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This is an introspective study on life seen through literary analogies focusing on Yiseganpum in the Avatasakasūtra. What is dealt with here intensively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hree perspectives. First, in Chapter Ⅱ, this author analyzes the central idea of the main text in this study, 『The Avatasakasūtra』 「Yiseganpum」. The key point here is ‘Yisegan’ which means a pure mind that is not tarnished by loka though it is in loka. This is expressed with following analogies: you stay in loka but are not trapped as in the air, and the lotus never gets wet. In other words, Yisegan is interpreted as the lotus border which means that as the lotus does not get tinged by dirtiness, our mind is clean originally and transcends loka. In Chapter Ⅲ, this researcher analyzes literary images contained in 「Yiseganpum」, and through that, it has been found that 『The Avatasakasūtra』 「Yiseganpum」 deals with the core doctrines of Buddhism including the steps of Hwaeom cultivation: sipsin, sipju, siphaeng, siphoehyang, sipji, deunggak, and myogak. The cultivation hierarchy of Hwaeom is expressed in the form of 12 bungyo with splendid words, literary analogies, and images. In Chapter Ⅳ, this author investigates through literary analogies introspection on life found in 『The Avatasakasūtra』 「Yiseganpum」. The center of this pum, expositor Samantabhadra Bodhisattva, delivers a sermon on a variety of beneficial lessons about life and the core of religious introspection contained in 「Yiseganpum」. In particular, Samantabhadra Bodhisattva gives an answer to each of the two hundred questions asked by Bohye Bodhisattva about the cultivation and mastery of Bodhisattva or such, and two thousand items are explained in 10 articles. Among the hierarchy of cultivation, ethical virtues that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our lives are 10 gye, 52 hierarchy of cultivation, yukbaramil, and samuryangsim. These are the ethical virtues we must practice in our lives; therefore, we should reflect on and develop the core ideas of physical and mental [theoretical] perspectives contained in 『The Avatasakasūtra』 「Yiseganpum」 as Hwaeom Bosaldo or such and create them as sources for our self-discipline. The deed of that practice can be a well-formed guideline of meditation which will lead you to a clean and peaceful life that is not tarnished by dirtiness although all of you exist in loka. Consequently, the key point of this study is to allow all of you to lead a free and happy life not being trapped into conflict or tinged by any sorts of anguish and illusion although you exist in lo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