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학령전 아동은 언어발달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점차 문장의 길이와 복잡성이 증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 아동의 구문 능력 특성과 문장 유형과 종류에 따른 비유창성 발생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방법: 4~5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 연령별 각 1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문장 바꾸어 말하기와 구조화된 대화하기 과업에서 수집한 발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말더듬 아동은 평서문보다 의문문에서 비유창성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말더듬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문장 바꾸어 말하기 과업에서 문장 정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문법, 어순, 반응 오류가 유의하게 높았다. 구조화된 대화하기 과업에서는 모든 문장 오류 유형이 말더듬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말더듬 아동이 일반 아동 집단 보다 문장 사용 및 조사 사용 빈도는 비슷하나 문장의 오류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말더듬 아동 집단은 C-unit 수와 정상적 비유창성, 조사 사용 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학령전 말더듬 아동은 C-unit 수가 높을수록 정상적 비유창성 빈도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말더듬 아동의 중재 시 유창성 증진뿐만 아니라 정확한 구문 사용을 위한 활동을 고려할 것과 중재 활동 시 평서문 외 의문문과 같은 다양한 문장 유형을 사용하고 자발 문장 발화 이전에 문장 모방하기, 점화 문장 사용하기 등 단계별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학령전 말더듬 아동의 구문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중재를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Preschool children are in a period of rapid language development during which the length and complexity of sentences gradually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ttering children’s syntax ab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y according to the types of sentences. Methods: A total of 40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4 and 5 participated in the study, 20 of whom stuttered and 20 of whom did not. Each participant had utterances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task of rephrase sentences and structured conversation. Results: First, stuttering childre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disfluency in the interrogative sentence than in plain sentences. Second, the stuttering childre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sentence accuracy in the task of rephrase sentences than the general children. In additional, the grammar, word order, and response err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ask of structured conversation, all types of sentence err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uttering group. Third, in the stuttering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C-units and normal disfluenc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ctivities for correct syntax use as well as promoting fluency in interventions in stuttering children require a step-by-step approach, such as using various sentence types, such as non-verbal interrogations, and mimicking sentences before spontaneous ignition sentence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nd in planning their interv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