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표는 조선 왕실 공식 기록물과 가사 문학작품인 <방경무도사(邦慶舞蹈辭)>를 비교하여 당대 사람들에게 효명세자 가례가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방경무도사(邦慶舞蹈辭)>는 동몽교관(童蒙敎官) 이휘녕(李彙寧)이 효명세자의 가례(순조 19년, 1819년)에 참석하여 그 광경을 그린 가사 작품이다. 이 작품은 국가와 왕실을 대상으로 한 송축가사(頌祝歌辭)의 하나이며 왕실의 가례를 소재로 하는 가사 작품으로는 현전하는 유일한 것으로 파악된다. 가사 문학작품 <방경무도사>가 갖는 의의는 궁중 의례인 가례를 생생하고 자세하게 ‘묘사’한 것에 있다. 특히 작품 속에서 큰 비중을 두고 묘사하고 있는 부분은 가례의 가장 빛나는 장면이라고 할 수 있는 친영례이다. 친영례에 대한 흥미로운 묘사는 가례에 대한 공식 기록물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차별점이자 특징이다. 이에 본고는 <방경무도사>에서 친영례를 묘사한 부분을 친영례의 시공간적 배경 묘사, 행례에 참여하는 사람들에 대한 묘사, 행례 진행에 대한 묘사 세 부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작품 속에서 친영례를 묘사한 부분을 왕실 공식 기록물과 비교하기 위해 『[文祖神貞后]嘉禮都監儀軌([문조신정후] 가례도감의궤)』,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을 살펴보았다. 왕실 공식 기록물을 통한 효명세자 가례 내용과 가사 문학작품 <방경무도사>에서 왕세자 가례에 관해 묘사한 부분을 비교하여 작가의 시선을 따라가 왕세자 가례에서 작가가 주목한 부분을 드러낸다. 이를 통해 당대 사람들이 효명세자의 가례를 보는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작가는 효명세자 의궤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다만 문무백관으로서 동몽교관이라는 하급 관리로 행례에 참여했을 뿐이다. 이런 작가가 묘사한 효명세자의 가례의 여러 장면은 당대 사람들이 효명세자에 거는 기대가 얼마나 높았는지 잘 보여주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공식 기록물과 비교되는 이 작품의 의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Banggyeongmudosa(邦慶舞蹈辭) was described as <邦慶舞蹈> after Lee Hwinyeong(李彙寧) attended the court ceremony of Prince Hyomyeong (Sunjo 19th, 1819)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work is one of the Songchuk Song lyrics for the country and the royal family, and it is considered to be only extant lyric work based on the royal family rites. Lee Gawon, a descendant of the author’ of the “Bangkyungmudosa,” i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this work is an official record of the family ceremony of Prince Hyomyeong. The “([文祖神貞后]嘉禮都監儀軌 “[Munjo Shinjeong Queen] Garyedogamuigw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Seungjeongwon Diary”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The significance of the lyrical “Bangkyungmudosa” lies in the vivid and detailed “description” of garye, a court ritual. In particular, the part depicted with muchgreat weight in the work is the Chinyoungrye, which can be said to be the highlight of the family rite. This interesting description of the pro-young rye is distinctive, revealing characteristics difficult to find in the official records of the rite. Therefore, this paper has divided the parts describing pro-young-rye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the firstcategory a description of time and space, category a description of family episodes, and the third category is a description of the obser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