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진도 주변의 14개 무인도서에서 2019년 8월에 암반 조간대 해안무척추동물을 간조 때 노출된 조간대와 조수웅덩이를 대상으로 정성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 조사는 출현 종수 파악에 중점을 두었으나 육안으로 높은 밀도로 분포하는 종들에 대한 정량조사를 통해 해당 무인도서의 우점종을 파악하였다. 조사 대상 무인도서는 모두 암반 기질을 보였으며 조수웅덩이는 모든 섬에서 대체로 발달되어 있었다. 또한 암반 표면에 타포니와 갈라진 틈이 있어 해안 무척추동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있었다. 조사된 해안무척추동물은 6문 11강 18목 34과 52종으로, 연체동물이 3강 8목 16과 32종으로 전체 출현 종수의 약 62%를 점유하여 가장 많은 종수를 보였다. 두 번째 우점 분류군은 절지동물로 2강 3목 9과 9종이 출현하여 전체 출현 종수의 약 17%를 점유하였으며, 그 밖의 해면동물, 자포동물, 태형동물, 극피동물이 각각 1~종씩 출현하였다. 무인도서별 출현 종수는 두륵도가 총 27종으로 가장 많은 종수를 보였고 이 중 연체동물이 20종으로 우점 분류군으로 출현하였으며, 돈서 등 7개 섬이 20종 이상의 많은 종수를 보였다. 그 밖의 나머지 무인도서들도 10종 이상의 종수를 보였으며, 이 중 신의도에서 14종으로 가장 적은 해안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다. 모든 조사대상 무인도서에서 출현한 해안무척추동물은 대수리와 갯강구였으며, 좁쌀무늬총알고둥은 소소동도 등 10개 무인도서에서 우점하였다. 검은큰따개비는 해수여(고치여도) 등 9개 무인도서에서 우점 출현하였으며, 거분손은 주도 등 9개 무인도서에서 우점 출현하였다. 그 밖의 해안무척추동물 중 두드럭배말은 북도(시루섬) 등 3개 무인도서, 총알고둥은 신의도 등 2개 무인도서, 갈고둥은 돈서, 진주배말은 신도, 보말고둥은 주도에서 각각 우점 출현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인근의 서·남해안의 암반 해안무척추동물의 연구 결과를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도 인근에서 이루어진 다른 연구에서도 유사한 출현 종수와 해안무척추동물의 우점 및 대상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신안과 완도에서는 조사방법의 차이와 인근 지질환경의 차이로 인하여 출현 종수와 주요 우점종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대체로 유사한 해안무척추동물의 우점 및 대상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진도 무인도서의 암반 해안에서 서식하는 해안무척추동물은 우리나라 서ˑ남해안 암반 서식처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우점 종 및 대상분포를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무인도서 관리 정책수립, 생태계 변화 및 환경 변화와 관련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August 2019, we have conducted qualitative samplings at low tide in exposed intertidal zones and tide pools of 14 uninhabited islands around Jindo Island, located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The main purpose of the survey was to make a species inventory of the organisms that inhabited the study area. In addition, the dominant species with high density in the area were also examined through quantitative survey. Rocky substrate and tidal pools were developed in all uninhabited islands. Taponies and cracks on the surface of substrate were also deveploped, which provided living habitats for marine benthic invertebrates. A total of 52 species were collected, consisting of six phyla, 11 classes, 18 orders, 34 families and 52 species, and the mollusc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among them, with 32 species (61.5%), 3 classes, 8 orders and 16 families. The arthropods formed the second dominant faunal group, amounting to 9 species (17.3%), 2 classes, 3 orders and 9 families. In addition, Porifera, Cnidaria, Bryozoa and Echinodermata in the area numbered between one and three species, respectively. The greatest number of species were found on Dureukdo island, with 27 species that included 20 species of molluscs, and seven other islands such as Donseo island featured more than 20 species. The rest of the remaining uninhabited islands featured more than 10 species, with those found on Shineudo island being the lowest in number (14 species). The ones that were found in all the sampling areas were Reishia clavigera and Ligia exotica. In addition, Echinolittorina radiata was found to be the dominant species in 10 areas including Sososongdo island. The dominant species found in other areas were as follows: Tetraclita japonica in 9 islands including Haesuyeo(Gochiyeodo) island, Pollicipes mitella in 8 islands including Judo island, Mytilisepta virgata in 5 islands including Donseo island, Lottia dorsuosa in 3 islands including Bukdo(Siruseum) island, Littoraria brevicula in 2 islands including Shineudo island, Nerita japonica in Donseo island, Cellana grata in Shindo island, and Omphalius rusticus in Judo islands. Comparative analysis of marine invertebrates on the rocky intertidal area between the study area and adjacent southwest coastal area showed that the two areas featured similar type of dominant species, zonal distribution pattern, and total number of species. However, type of dominant species and total number of species were found to be slightly different in Shinan and Wando areas due to sampling methods and sediment environ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ominant specie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invertebrate in rocky area of Jindo uninhabited island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islands in southwest coast of Korea, that can be useful in establishing management policies for uninhabited islands regarding the monitoring of changes in the coastal marine ecosystem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