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제주민요는 제주섬의 자연․역사․사회의 산물로, 노래 가사에는 구전 당시의 시대상과 더불어 섬사람들의 삶과 인식이 잘 반영되고 있다. 현대에 오면서 문명의 발달로 인한 기계 활용과 농약 사용으로 식구 중심의 노동력으로 이루어지던 일들이 대규모의 농사로 전환된다. 이러한 노동이나 의식 관련 가창 기연이 사라짐에 따라 제주민요는 소멸 과정을 겪고 있으며 후대 전승이 불가한 실정이다. 그래서 제주도는 제주민요의 보전을 위해 이미 국가 지정 중요무형문화재와 도 지정 지방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전승을 위해 힘쓰고 있다. 현재 제주민요가 왜 보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 지표 설정 등을 위해서 문화사적 가치에 대한 설득력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고는 제주민요에 대한 그간의 연구 성과와 경향을 파악하여 제주민요의 문화사적 가치에 대한 초석을 다지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주민요는 제주섬 여성공동체의 생활 문학의 진수를 잘 보여주고 있고 사람, 자연, 신, 동물과 소통하는 원시적 사고가 노래 속에 담겨있다, 또 구술 전승 속에서 문학, 음악 양식이 다양하게 변용되고 창법이 창안되면서 시공을 배경으로 다양한 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주민요는 공동적 정서를 바탕으로 개인의 서정적 자아도 잘 표출되고 있다. 특히 염세적 정서가 구체적으로 가시화되고 역설의 방식으로 의미를 강화하고 있다. 노래의 효용적 가치는 육체적․정신적인 면에 주어지는 현재의 고난 극복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노래’, ‘소리’, ‘놀래’의 기능은 노동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제주민요의 문화사적 가치에 대한 논의는 한국 본토의 민요 혹은 외국 섬 민요와 비교연구 등으로 차후 보완될 것이다.


Jeju folk songs are the products of the nature, history and society of Jeju Island, and the song lyrics represent the zeitgeist as well as the islanders' perspectives on life at the time when the songs were made and sung. Reaching into modern times, small-scale farming using the labor of family members has been transformed into large-scale mechanized farming using agri-chemicals. As the chance to sing songs relating to work or rituals has disappeared, Jeju folk songs have been in a process of becoming extinct, which makes it hard to transmit them to future generations. Jeju folk songs were designated as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longside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s as part of an effort to preserve and transmit them. Currently, persuasive research is required on the value of the songs as cultural history in order to establish policy-level indicators on why Jeju folk songs have to be preserved. This thesis lays the groundwork for the value of Jeju folk songs as cultural history by identifying the research results and trends so far. This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Jeju folk songs represent the essence of practical literature of Jeju Island's women communities, embracing indigenous thought about communicating with people, nature, deities, and animals. -Through oral transmission, the songs have been diversely transformed in literature and music, and they have been differentiated through time and space. -The effective value of the songs are recognized for overcoming physical and mental hardship, and the function of the songs focuses on labor. -Jeju folk songs also express an individual's lyrical self based on collective sentiments. In particular, pessimistic sentiments are specifically shown, intensifying the meaning in a paradoxical way. -Discussion on the value of Jeju folk songs as cultural history is supplemented in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folk songs from the Korean mainland and the island regions of other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