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포크너 번역을 중심으로 본 1950년대 지식․문화장에 대한 풍속도인 동시 한국전쟁기에 본격화된 냉전의 영향력이 오늘날까지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보고서다. 이를 위해 『문학예술』, 『사상계』, 『자유문학』, 『현대문학』 등 주요 잡지들을 통해 포크너 수용의 양상을 조사하고, 단행본 출판시장과 영어영문학회 중심 아카데미를 함께 살핌으로써 자료의 토대를 마련했고, 미국의 국무부와 공보원, 민간재단이 포크너 수용에 개입한 경로를 살핌으로써 ‘냉전의 포크너’의 일단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러나 남북전쟁 이후 ‘남부의 항의’를 전달한 작가이자 혼돈의 모더니즘의 소설가로서, 포크너는 냉전의 자장에만 갇히는 존재는 아니었다. 그는 ‘전 지구적 남부’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제3세계 작가들을 자극했고, 그럼으로써 제3세계들이 ‘자유 세계’의 미학적 표준이 된 모더니즘을 냉전 속 후기 식민지적 조건 속에서 변용할 수 있게끔 영향을 주었다. 그런 의미에서 포크너는 미국 발 문화-심리전의 구성물인 동시 ‘냉전 너머의’ 존재이기도 했다.


This article is a survey about how William Faulkner influenced on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in the 1950s, through which we can see the impact of the cultural-psychological war of the Cold War era. I used the major magazines such as Literature and Art (『文學藝術』), Thoughts (『思想界』), Literature of Freedom (『自由文學』) and Contemporary Literature (『現代文學』) as well as translations of Faulkner’s monographs. I tried to reconstitute a role of the U.S. State Department, USIS (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 and civil foundations in tracing the course of Faulkner translations, which brought me to discover the forgotten translators and mediators. In fact, many regions in the Third World experienced the arrival of American literature and Faulkner’s novels in a similar way that Korea has experienced. The Cold War was intertwined with the postcolonial situation, and the task to represent the harsh reality of the semi-colonial difficulties was entangled with the opaque reality and censorship issues. William Faulkner’s novels could have a complex significance and influence on the Third World writers under this circum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