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조정래의 「황토」를 통해 가부장제 민족주의가 비–순혈적 존재를 배제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여성의 생애사 쓰기에 잠재된 힘을 확인한다. 비–순혈적 존재는 일제말기에는 ‘내선혼혈인’으로, 한국전쟁 후에는 ‘기지촌 혼혈인’ 등으로시대에 따라 달리 대표/표상(represent)되었다. 본고는 해방 후 ‘혼혈’ 개념이 인종화됨에 따라 한반도에서 살아 온 내선혼혈인의 존재가 삭제되었음을 지적하고, 이 또한 배제의 방식이라 보았다. 「황토」의 장남 태순이 ‘식별되지 않는’ ‘내선혼혈인’으로 자기 정체성을 알지 못한 채 순혈주의를 주장하고 있다면, ‘기지촌 혼혈인’인 동익은 ‘식별되는’ ‘인종적 표식’을 지니고 있음으로 인하여 폭력의 대상이 된다. 이때 태순의 태도는 이민족과 섞였던 자기 역사를 망각하고 끊임없이 타자를 배척하는 민족국가의 순혈주의 메커니즘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태순은 ‘순혈’ 민족이라는 범주가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영역’이 아니라‘비식별 영역’일 뿐임을 보여주는 존재이다. 이때 민족국가가 망각한 ‘불순한’ 역사는 어머니 점례의 생애사 쓰기로서 폭로될 수 있다. 그러나 어머니 점례의 글쓰기는 완성되지 못했고, 여성 생애사 쓰기의 가능성은 도래할 것으로 남아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patriarchy nationalism excludes beings with non-pure blood in 「Red Clay」 written by Jo Jeongrae, and to verify the subversive potential of writing conducted by women who remember the impure history of the national- state. In 「Red Clay」, Taesu, the eldest son who is ‘non-visible’ mixed blood, argue for pure-blood, without konwing his identity, while Dongik, the lastborn son who is ‘visible’ mixed blood, is excluded from the Korean society, due to his visually prominent. They differently experience alienation, depending on physically ‘hidden/revealed’ marks. In particular, Taesu whose own history is removed abuses his younger brother. Such an attitude is problematic, in that it is similar to the mechanism reproducing the pure-blood ideology of nation state which has endlessly excluded others, obliterating their own impure history in which they were mixed with foreign nations. Jeomrye’s writing her life history in the end of 「Red Clay」 can have a subversive potential, in that it discloses the impure lineage of the patriarchy national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