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후기의 상업 시스템이 개항과 식민지화라는 충격 속에 어떻게 변모해갔으며 그 과정에서 조선인들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연구할 때 빠질 수없는 대상이 조선후기에 성장한 ‘객주’라 불린 집단이다. 본고는 선행연구에서충분히 다루지 않은 식민지배 하 객주의 일양상을 1930년대까지 지역 상계에서 나름의 위상을 가지고 있었던 인천항 객주들에 주목해 밝히고자 하였다. 집단으로서 인천항 객주들이 비교적 안정적인 영역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일본인 수출상들과 같은 영역을 두고 쟁탈전을 벌이기보다는 보완적인 영역을확보해 협력관계를 구축했기 때문이었다. ‘객주’라는 명칭이 상공인명록에 등장할 정도로 이들은 아마도 식민지배 하 조선에서 가장 세력을 가진 객주 집단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개별 객주들에 주목해 보면 경영 안정성이나 확장성은그다지 크지 않았다. 이들이 구축한 보완 ․ 협력 관계가 식민지라는 상황 속에서 주변 영역으로의 성장을 제약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1930년대 인천에서 객주 집단은 여전히 상당한 명성을 유지했지만 영업소득 측면에서는 정미업자나다른 상공업자들에게 밀리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핵심주제어: 쌀 수출, 위탁매매, 돈야(問屋), 상공인명록, 영업세


One of important subjects in Korean economic history is how traditional commercial businesses transformed under the impacts of ports opening and colonization dur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Kaekchus, the consignment merchants have caught the attentions of many previous studies; their emergence as a new progressive class and the decline of their strength in competition with Japanese merchants have been pointed out. However, the kaekchus in the port city Inch’on kept their strength by the 1930s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cities.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backgrounds of their relative successes as a group - building rather compensatory relations with Japanese rice exporters. On the other hand, each individual merchant did not show quite stable growth, possibly because the compensatory relationship itself, in addition to colonial contexts, contained their expansion to another area of commercial businesses. While kaekchus in Inch’on still had local reputations to a certain degree, they were surpassed by other merchants group such as rice millers and exporters in terms of business in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