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재조일본인 작가 유아사 가쓰에의 소설 가운데 수원을 터전으로 하여 살아가는 이민자 2세의 삶을 그린 작품들을 공간 분석으로 접근하였다. 「대추」, 「심전개발」, 「하야마 모모코」에서 초점화자의 기억에 의해 재현된 성안장, 소학교, 카페 등은 조선인과 더불어 수원의 식민지사회를 형성했던 재조일본인 2세의 양상을 안팎으로 살펴볼 수 있는 통로이다. 「대추」와 「심전개발」은 상호텍스트적인 관계에 있다. 두 작품에 등장하는 조일 혼혈인 김 타로는 재조일본인 2세가 지닐 수밖에 없는 혼종성을 부모세대와 관련해 설명할 수 있는 인물로, 그 혼종성의 본류는 수원의 성안장이다. 초점화자 김 타로의 개인 기억으로 서술된 「대추」와 「심전개발」에는 내선일체를 비판하는 작가 의식이 개입되어 있다. 「하야마 모모코」에서 초점화자 시게타의 기억은 소학교 시절의 친구들을 소환하여 이들의 집단 정체성을 만드는 구심점으로 작용하였다. 일본인 전용의 소학교는 시게타의 기억이 유지되고 되살려지는 공간적 틀로써 내선일체에 동조하는 작가의 자전적 기억의 저장소로 활용되었다. 재조일본인 2세가 등장하는 유아사 가쓰에의 전전(前戰) 소설들은 조선인과 일본인의 갈등과 제휴가 일어나는 상호교류의 장이자 문화적 상호 침투가 일어나는 혼종적인 공간이다. 「대추」, 「심전개발」, 「하야마 모모코」에는 한국소설에서 누락되고 망각된 재조일본인 2세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을 통해 제국과 식민지의 접점인 식민자의 실체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This study analyses the space, that is Suwon city, where depicted in a number of fictions written by Yuasa Katsue. The main character of his fictions are the 2nd generation of the Japanese resident in colonial Korea. ‘Inside market place’, ‘elementary school’, and cafe of colonial period are described in such as <Jujube>, <Mind Development>, <Hayama Momoko> etc. The represented sites or spaces can be a channel for understanding both Korean and Japanese resident in Korea who formed the colonial society in Suwon. Especially in <Jujube> and <Mind Development> which are intertextual, Kim Taro who a mixed-blood is a kind of site to explain his parent’ generation. He represented the hybridity of the 2nd generation of the Japanese resident in colonial Korea. In <Hayama Momoko>, it configures the story of 6 students who came back to Suwon, after failed to adjust in Japan. They recognized that they could not settled down in Japan, because they were the 2nd generation of migrants. So they returned to Korea and had an affiliation with Korean. The fictions, which described the life of the Japanese resident in colonial Korea, are a field of mutual interchange and conflict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a space of hybridity generating cultural interpenetration. In novels, the main characters are the 2nd generation of Japanese migrants. That summons those Japanese resident in colonial Korea, who neglected or forgot in modern novels of Korea. So, his novels can be a path or contact point to find out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ose persons in colonia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