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 담론의 장에서 행복이라는 주제가 의미 있게 논의될 수 있도록 행복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론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행복의 측정을 위한 좀 더 과학적인 도구, 즉 행복지수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en의 역량이론(capability theory)을 이론적 바탕으로 하여 행복을 개념화하고 행복 도메인을 구축하여 행복 측정을 위한 지수 개발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행복지수를 활용하여 228개 기초자치단체의 지역별 행복 수준을 평가하였다. 추가적으로 행복의 8개 하위 도메인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해서 지역의 패턴을 확인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행복의 지리적 분포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행복은 매우 다차원적인 현상이며 따라서 경제적 번영만으로 행복한 국민을 만드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밝혔다. 이에 더해 경제적 번영에서 행복으로 이어지는 가정을 넘어, 행복한 대한민국을 위해 행복이 정책담론 안으로 들어와 구체화되어야 한다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지역별 행복 특성을 담은 군집분석에서는 기존 시/군/구 수준의 획일적 정책들로는 지역의 행복 수준 제고에 한계가 있고, 맥락이 비슷한 지자체들 간의 공동 노력이 필요함을 함의로 제시하였다. 행복을 구성하는 여러 도메인의 질적 향상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비로소 행복한 대한민국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ize the concept of happiness in policy discourse and to develop a happiness index to evaluate level of happiness in 228 local districts in Korea. A newly developed happiness index is based on the capability theory by Sen, which conceptualizes happiness in the context of 8 sub-domains. Happiness Levels of 228 local districts were examined and clustered drawing upon their contextual similarities. The results led to policy implications. The geographic analysis of happiness distribution reveals that happiness has indeed multi-dimensional phenomenon and that economic prosperity does not necessarily makes a happy country. The cluster analysis of local districts also implies that one-size-fits-all uniform policies will not contribute to improve the happiness levels of local residents. It is imperative that local governments with similar contexts should work together to make their people happier. Qualitative improvement in multiple domains of happiness can create a room for happiness discourse in public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