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장애아동 돌봄 양육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직업 생활, 자녀 양육의 이중고의 의미와 본질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연구에는 8명의 장애아동 어머니가 참여했다. 연구자는 Giorgi(2009)가 제시한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 분석절차에 의해 수행했다. 자료 분석 결과 50개의 의미 단위, 14개의 하위구성요소, 6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는 첫째, 홀로 끌고 가는 양육의 수레, 둘째, 무력감의 수렁에 빠진 자녀, 셋째, 사회적 양육 시스템의 폐쇄, 넷째, 가족 결속의 동요, 다섯째, 경제적 취약성으로 인한 양육 능력의 저하, 여섯째, 심리적 탈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재난위기 상황에서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맞벌이 가정 어머니를 지지할 수 있는 방안과 코로나 이후 뉴노멀의 방향을 제시했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mother's experience in parenting for disabled children in a double-income family under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double-torture of mother's professional life and child parentily experien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Eight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is study by the techn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procedure presented by Giorgi(2009).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data analysis results in 50 meaning units, 14 subcomponents, and 6 components. Components were first, a cart of parenting alone, second, a child in a pit of helplessness, third, a shutdown of the social parenting system, foruth, a disturbance in family unity, fifth, a decline in parenting capacity due to economic vulnerability, sixth, a psychological escape.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er suggested ways to support dual-income mothers who in parenting for disabled children in a disaster crisis and the direction of New Normal after Coro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