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언어학과 문화인류학의 학제적 연구로서 일본으로 출향한 제주 해녀들이 국가 개념을 넘어 자유로운 언어혼용을 실천한 탈경계적 인식의 주체였음을 보여준다. 모어인 제주방언/한국어와 일본어를 섞어 사용한 제주 해녀들의 혼성어가 영토성과 주권성의 표현이 아닌 의사소통의 도구였음을 강조한다. 제주 해녀들의 언어혼용 및 의사소통의 방식을 밝히기 위해 먼저 제주도의 특수한 언어접촉의 역사를 통하여 출향 이전에 해녀들의 언어혼용의 경험과 언어능력이 어떤 수준이었는지를 살펴본다. 이어 현지 노동상황에서 해녀들이 일본인들과 소통하기 위해 사용했던 혼성어(제주방언/한국어와 일본어)의 특징과 양상을 언어・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예시하고 특히 해녀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의지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제주 해녀들이 사용했던 혼성어가 어떻게 매개어가 될 수 있었는지를 그들의 심리적 동인으로 분석하고, 이 혼성어를 ‘자곤’ 혹은 ‘중간언어’의 유형으로 해석한다.


This study is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sociolinguistics and cultural anthropology, and presents the mixed language used by Jeju haenyeos in local labor in Japan as an example of the ‘cultural interaction’ from a borderless perspective. We emphasize that this mixed language of Jeju haenyeos, using the native language of Jeju dialect/Korean and Japanese, was not an expression of territoriality and sovereignty, but a tool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clarify the aspects of their language mixing and communication, we first presume that the history of Jeju Island's special language contact served as excellence in their practice of flexible language mixing. Then, we exemplify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mixed languages ​​(Jeju dialect/Korean and Japanese) that haenyeos used locally to communicate in Japanese working environment through linguistic and semiotic analysis. In conclusion, we explain how the mixed language used by Jeju haenyeos could become a vehiculare language between people who speak different languages ​​through their psychological motives, and define this type of mixed language as a kind of jargon or inter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