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영화의 역사를 기술적 조건에서 설명하려는 시도다. 영화는 렌즈, 필름, 전기, 빛 등 다양한 기술 미디어(technological medium)로 구성되어 있기에, 일종의 기술 복합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중에서 회전 기술을 통해 영화의 등장에 대한 기술적 역사를 설명하려고 한다. 회전은 20세기의 시청각 기록 미디어 기술이었던 축음기,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비디오 테이프 등과 영화가 공유한 공동의 역학이기 때문이다. 또한 회전이 복제 기술의 독자성을 만들어내는 원천이었기 때문이다. 첫째, 본 논문은 바쟁의 글 「완전영화에 대한 신화」를 재독하여, 재현의 역사에서 회전의 역사로의 영화 역사 관점 전환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둘째, 영화 장치의 선사시대를 회전 기술로 재구성한다. 셋째, 20세기의 대표적인 모빌리티 기술인 자동차를 시각적 스펙터클 효과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 초기 시대의 영화를 분석하여, 모빌리티 기술에 기반한 영화와 자동차 사이의 문화적 관계망을 탐색하고, 초시공간의 모빌리터 미디어로서 영화에 대한 20세기 초반의 시대적 관점을 지가 베르토프의 영화분석을 통해 탐색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history of cinema in terms of its technological conditions. The medium of cinema is a technological complex, comprised of various technological elements such as the lens, film, electricity, and light.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history of cinema’s emergence in the age of modernity through, among others, the technologies of rotating images. This is because the rotating is a dynamic which made the medium to operate as are the gramophone, magnetic tape, and video tape recorder. Also this is because the rotating produces the specificity of the medium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Firstly, this paper will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film history to turn from the history of cinematic representations to that of rotating images technologically. Secondly, the pre-cinema will be revisited by focusing on the technolgy of rotating sequential images.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cinematic mobility by relating it with automotive vehicles and their effects of crash, and the cinema as ultra spatiotemporal medium, by analyzing early films about car explosions or crashes and Dziga Vertov’s A Sixth Part of the World (1926) and The Eleventh Year (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