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고는 후백제 주도 세력의 변화가 후백제의 정치뿐만 아니라 문화 변화에도 폭넓게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는 가설 아래 견훤 세력의 성립과 확장, 분열과 교체의 관점에서 후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본 것이다. 세력 변화는 총 여섯 차례 이루어졌는데, 1기는 889~892년에 해당한다. 이 시기 신라 西南海 防戍軍의 비장이었던 견훤은 신라 內地 출신이 다수를 차지하는 방수군과 해상을 무대로 활동하던 전남 동부지역의 在地勢力을 중심으로 세력을 형성한다. 2기는 892~ 900년으로 自王한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 견훤은 왕을 자처하였으나 나라의 국체를 만들지 못하였다. 이는 신라 내지 출신과 재지세력 간 주도권 쟁탈 때문으로 여겨진다. 3기는 900~901년 전후 시기다. 900년 ‘전주 선언’에서 견훤은 통치이념으로 ‘百濟 繼承’과 함께 ‘馬韓-百濟 一體意識’을 제시한다. 이는 재지세력이 후백제 주도권을 쥐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901년 군사 행동이 실패하면서 후백제 내 주도권은 신라 내지 출신으로 넘어간다. 4기는 901년 이후부터 920년 이전 시기이다. 이 시기 정국의 주도권을 쥐고 있던 신라 내지 출신은 경북 북부지역 공략에 공을 들인다. 이때 경북 북부지역 주민과 함께 문화가 후백제지역에 유입된다. 5기는 대야성을 함락한 920년부터 927년 사이의 시기이다. 920년 대야성 함락은 후백제 건국의 당위성과 정체성을 확인하고 견훤이 정통성을 얻은 일대 사건이었다. 이를 기점으로 재지세력들은 백제의 개국지로 인식하였던 익산지역을 중심으로 “미륵사 개탑” 등 백제 현창사업이 펼쳐졌다. 6기는 경주를 침공한 927년 이후 시기이다. 927년 경주 침공 성공 이후 견훤은 백제의 계승자에서 후삼국의 맹주로 그 지위를 스스로 격상시켰다. 이때부터 재지세력은 권력에서 밀려났으며, 결국 후백제는 멸망하였다. 특히, 이 논고는 성격이 다른 후백제 주축 세력의 변화가 예배의 대상이면서도 정치적 상징물로도 조성되었던 불교미술품의 형식과 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survey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Later Baekje Dynasty with the focus on the emergence, expansion, and division of the faction led by Gyeonhwon,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changes in that faction had a wide-ranging influence on the dynasty’s politics and culture. Major changes in the faction occurred on a total of six occasions, which can be divided into six periods, as follows. During Period 1 (889-892), Gyeonhwon, a low-ranking officer of the Silla forces defending the southwest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started to form a faction composed of the defending troops, a majority of whom were from inland areas of Silla, and local powers from the eastern areas of present-day Jeonnam who carried out activities in the sea. In Period 2 (892-900), Gyeonhwon declared himself king, but he was unable to establish a kingdom, presumably due to the rivalry between two factions composed of his followers. During Period 3 (900-901), Gyeonhwon made his Jeonju declaration in 900, in which he claimed that he would inherit Baekje and those from Mahan and Baekje were one, which means that the local powers had seized the initiative. However, with the failure of their military action in 901, control of Later Baekje was seized by those from the inner areas of Silla. During Period 4 (901-920), those from the inner areas of Silla, who now held the initiative, successfully occupied the present-day northern areas of Gyeongbuk. Period 5 covers the years from 920, when Later Baekje occupied Daeyaseong Fortress, to 927. Later Baekje’s occupation of Daeyaseong Fortress was an important event that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foundation of the new dynasty, upheld its identity, and provided legitimacy to Gyeonhwon. This event also motivated the local powers to initiate certain projects aimed at restoring Baekje to its former glory, particularly in Iksan, such as “the opening of a pagoda at Mireuksa Temple,” which was widely viewed as the place that provided the impetus to the foundation of Baekje. Finally, Period 6 spans the years 927, when Later Baekje attacked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to 936. After his successful attack on Gyeongju, Gyeonhwon raised his status from that of the inheritor of Baekje to the leader of the Later Three Kingdoms. In this way, the local powers were pushed aside and Later Baekje eventually fell. This paper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amine how the changes in the factions ruling Later Baekje exerted influence on the forms and styles of Buddhist artworks, which served not only as objects of worship but also as political symb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