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혼 남녀(614명)의 정서적 성숙이 성적 자율성을 매개로 혼외관계인식에 미치는 효과와 이에 성별특성 및 혼외관계 만연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 보다 자신의 혼외관계에 대해 더 수용적이었다. 둘째, 남녀 모두 정서적으로 성숙할수록,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해서 수용적이지 않은 현상은 혼외관계만연성이 낮은 집단이나 높은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기혼자들의 정서적인 성숙이 자신의 혼외관계에 대해 비판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데 기여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셋째, 정서적 성숙이 남성의 성적자율성에 미치는 정적 효과는 혼외관계 만연성이 낮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고, 혼외관계 만연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여성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넷째, 남성의 경우, 혼외관계 만연성이 낮은 집단이나 높은 집단 모두 성적 자율성이 혼외관계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에는, 성적 자율성이 높을수록 혼외관계에 대해서 수용적이지 않은 현상이 혼외관계 만연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발견되었다. 다섯째, 혼외관계 만연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반영하지 않은, 성별 조절효과 분석결과에서는, 여성의 경우에서는 정서적 성숙이 혼외관계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성적 자율성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적 자율성의 매개효과는 혼외관계 만연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반영한 분석결과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기혼남녀의 혼외관계인식에 성적 자율성이 미치는 효과는 성별 및 혼외관계 만연성에 의해 유의하게 조절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기혼남녀의 혼외관계인식에 정서적 성숙, 성적 자율성과 같은 개인심리특성이 미치는 영향한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얻기 위해서는 성별특성 뿐 만 아니라, 기혼남녀가 생활하는 주변 환경의 혼외관계 만연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이들의 혼외관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This study is conducted on married men(310) and women(304), to identify the effect of individuals' emotional maturity on their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through their sexual autonomy, as well as the moderate effect of gender and the pervasivenes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men are more receptive to their out-of-wedlock relationships than women. Second, the more emotionally mature both men and women are, the less receptive to their extramarital relationship is found in common in both the low and high prevalence group of that relationship. It has been proven that the emotional maturity of married people contributes to a critical perception of their extramarital relationships. The positive effect of emotional maturity on male sexual autonomy is significant only in the group with low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but not in the group with high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The same phenomenon is also found in women's groups. Forth, in the case of men, sexual autonomy did not affect the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n either the low or high prevalence group. However, in the case of women, the higher the sexual autonomy, the less receptive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 is found in groups with higher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Fifth, in the analysis results of gender control effects, which did not reflec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 in the case of women,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autonomy on the effect of emotional maturity on the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s proven. However, this mediating effect of sexual autonomy is not significant in the analysis results reflec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vasivenes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t is proven that the effect of sexual autonomy on the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between married men and women is significantly controlled by gender and the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n order to gain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emotional maturity and sexual autonomy on married men and women's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t is concluded that the influence of not only gender characteristics,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pervasivenes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which married men and women live, on their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