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표는 1900년대에 유행했던 학회지의 역사적 의미를 ‘근대 지식문화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데 있다. 주지하고 있듯이 1900년대는 근대 지식문화가 정초되었던 때였다. 그런데 당시에 폭발적으로 발행되었던 각종의 인쇄매체에 대한 연구가 현재 방대하게 축적되어 있음에도 인쇄매체들의 주된 교환 방식이 시장경제 및 자본주의의 원리에 따른 것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당시에 대표적인 학회지였던 『서우』를 대상으로 출판자본주의가 부재했던 한국에서 지식시장이 어떻게 부상할 수 있었는지를 검토했다. 이 글은 한국의 근대 지식문화를 새롭게 이해하는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journals that were popular in the 1900s from the point of view of formation of modern knowledge culture. As is well known, the second half of the 1900s was a time when the modern knowledge culture was founded. Interestingly,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that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main method of exchange of print media wa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market economy and capitalism, despite the vast accumulation of studies on various print media that were explosively published at the time.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knowledge market could emerge in Korea, where print capitalism was absent, targeting Seou(西友), a representative magazine in the late 1900s. This will serve as a guide to a new understanding of the modern knowledge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