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초기 유가행파(瑜伽行派)의 백과사전적 문헌인 『유가사지론』(Yogācārabhūmi)의 성욕을 주제로 한 게송들과 그에 대한 주석을 다룬다. 이 게송들은 본래 『잡아함경』 등의 초기경전에 있던 내용인데, 『유가사지론』 중 「사소성지」(思所成地)에서는 ‘핵심 주제의 의미를 다루는 게송들의 주석’(*Śarīrārthagāthānirdeśa) 부분에서 인용되고 있다. 이 게송들은 요가 수행자가 부정관(不淨觀), 고관(苦觀), 무아관(無我觀), 몸에 대한 혐오감의 반복 수습의 다양한 명상과정을 통하여 성욕을 극복하고, 나아가 ‘나는 ~이다’는 자아관념을 동반한 아만(我慢)을 무상삼매(無相三昧 ānimittasamādhi)를 통해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모든 고통을 종식하는 과정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 그리고 초기유가행파 소속의 학자(들)은 이 게송들에 대하여 짧지만 매우 흥미로운 주석을 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쓰여 졌다. 첫 번째는 이 게송들의 주석에 대한 산스크리트 에디션과 그 번역을 학계에 보고하는 것이다. 에노모토 후미오(榎本文雄)가 1989년 ‘핵심 주제의 의미를 다루는 게송들’의 산스크리트 에디션을 출판하였고 몇몇 학자들이 이 편집본에 의거하여 게송들을 연구해왔지만, 게송들의 주석에 대한 연구는 산스크리트 편집본의 부재로 인하여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산스크리트 편집본의 본문은 이 주석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의 시작을 알리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두 번째는 단지 문헌학적 작업의 소개에만 그치지 않고, 산출된 텍스트에 대해 비판적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법론 중 ‘강요된 해석’(forced interpretation)을 드러내는 것에 집중하였다. 이는 초기 유가행파에 속한 주석가(들)이 초기경전의 ‘성욕’을 주제로 한 게송들의 본래 의미와 의도를 자신이 속한 학파의 사상과 체계에 맞추어 어떻게 비틀어 해석하여 받아들였는가[變容]를 조사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a set of verses about sexual desire(kāmarāga) and early Yogācāra's commentary on it in the Cintāmayī Bhūmi(Foundation concerning what is derived from reflection) chapter of the Yogācārabhūmi, an encyclopedic work of the early Yogācāra school. In the part of *Śarīrārthagāthānirdeśa(Verses on the meaning of canonical corpus and their commentary) of the Cintāmayī Bhūmi, the set of verses is quoted from early Buddhist scriptures, such as the Saṃyuktāgama. These verses sing of the process by which a yoga practitioner overcomes sexual desire and further eliminates the conceit (māna) by means of meditation, such as the contemplation of the impure, suffering and the non-self, eventually to put an end to all sufferings. There are relatively short but nonetheless interesting commentaries on these verses by an early Yogācāra scholar (or possibly scholars). This paper has two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is to present the main text of the commentary part, borrowed from my unpublished critical edition of the *Śarīrārthagāthānirdeśa, and its Korean translation. Fumio Enomoto had published an edition of the entire verses of the chapter in 1989 and a few scholars have been studying these verses based on Enomoto's edition. However, there are little studies on their commentaries because of the lack of critical edition on that part. The second objective is to find out ‘forced interpretations’ made by the commentator(s), that is to say, to shed light on the commentator(s)’s distortion of the original meaning and intention of the verses so as to fit their contents to the system of the early Yogācāra school. One of the most noteworthy interpretations in this regard is the interpretation of the compound mānānuśaya, which should be understood as propensity for conceit, as ‘the ‘I am’ conceit and the latent tendency for sexual desire. This forced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early Yogācāra's stance that divides afflictions (kleśa) into two modes, namely the latent tendency (anuśaya) and its outburst (paryavasthāna). Consequently, the samādhi of signlessness (ānimittasamādhi), which initially intended to uproot the conceit (māna), comes to relate with the elimination of the latent tendency for sexual des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