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빠다짜뚜루르드흐바 군(群, Padacaturūrdhva, PU-g)의 운율들은 음절수와 운각으로 구성되는 이질 운율(Viṣamavṛtta)의 한 부류이다. 이질 운율은 빠다짜뜨루르드흐바 군(群)을 비롯해서 우드가따 군(Udgatā, UG-g), 우빠스띠따쁘라쭈삐따 군(Upasthitapracupita, UP-g)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은 일련의 세부 운율을 지닌다. 세 유형의 이질 운율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형식이자 이질 운율의 전형을 보여주는 시형이 빠다짜뚜루르드흐바 군의 운율들인데, 비교적 난해하다고 할 수 있는 이 운율의 구조를 파악한다면 우드가따 등 여타의 이질 운율을 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빠다짜뚜루르드흐바 군(PU-g)의 모든 운율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절수는 8, 12, 16, 20으로 한정되지만 그 유형은 크게 ① ‘언제 어디서나 단음(laghu)과 장음(guru)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운율들’과 ② ‘단음과 장음의 위치가 엄격히 고정된 형태의 운율들’로 나누어진다. 전자를 대표하는 세부 운율은 빠다짜뚜루르드흐바(Padacaturūrdhva, PU)이고 후자를 대표하는 것은 아삐다(Āpīḍa, ĀP)이다. 전자는 네 구의 장단 구조가 완전히 자유로운 불규칙 시형으로 간혹 운율을 어긴 것으로 오해될 수 있는 운율이다. 후자의 경우, 비록 ‘네 구 전체’의 형식이 통일된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구별로 음절수와 장단 구조가 엄격하게 고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비(非)단일적 정형시로 파악된다. 필자는 일차적으로 가장 많은 이질 운율을 설명하고 있는 삥갈라의 Chandaḥśāstra(ChŚ)와 할라유드하브핫따(Hallayudhabhaṭṭa)의 주석서(ChŚ-Ybh)에 의거해서 빠다짜뚜루르드흐바 군의 일곱 운율을 정의하고 분석했다. 하지만 분석하는 과정에서 만자리(Mañjarī), 라발리(Lavalī), 아므릿따드하라(Amṛtadhārā)의 경우 ChŚ, ChŚ-Ybh의 정의와 해설이 라뜨나까라샨띠(Ratnākaraśānti)의 Chandoratnākara (ChR), 께다라브핫따(Kedārabhaṭṭa)의 Vṛttaratnākara(VṛK) 및 술하나(Sulhaṇa)의 주석(VṛK- Sbh)과 묘하게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여러 가지 가능성을 두고 두 문헌을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론적으로, 대단히 이례적인 경우이지만 두 문헌의 정의 자체가 다른 것으로 판단했다. ChŚ, ChŚ-Ybh에 따르면 만자리, 라발리, 아므릿따드하라는 ‘언제 어디서나 장음과 단음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빠다짜뚜루르드흐바(PU-g)의 일종’이고 반면 ChR, VṛK, VṛK-Sbh에 따르면 세 운율은 아삐다(Āpīda)의 일종인데 아삐다는 모든 구의 마지막 두 음절만 장음(⏤)이고 그 외는 모두 단음(∪)으로 구성된 운율이다.


Viṣamavṛtta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groups: ‘Udgatā-Group’ (UG-g), ‘Padacaturūrdhva-Group’ (PU-g), and ‘Upasthitapracupita-Group’ (UP-g). Among the three groups of Viṣamavṛtta meters, ‘Padacaturūrdhva-Group’ (PU-g) is the most basic one. The number of syllables that can be used in all meters belonging to the ‘Padacaturūdhva-Group’ (PU-g) is limited to ‘8, 12, 16, and 20’ syllables, and the group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main types. The first type, Padacaturūrdhva(PU), includes meters wherein long and short syllables can be used freely.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ype, Āpīḍa (ĀP), includes meters wherein the positions of long syllables (Guru) and short syllables (Laghu) are strictly fixed. The three rhymes of the Padacaturūrdhva group (PU-g), namely Manjarī, Lavalī, and Amṛtadhārā, wer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anskrit Prosodic Texts. According to ChŚ and ChŚ-Jbh, Mañjarī, Lavalī, and Amṛtadhārā belong to the Padacaturūrdhva (PU) type and thus can be freely used with Guru or Laghu. However, according to ChR, VṛK, and VṛK-Sbh, Mañjarī, Lavalī, and Amṛtadhārā belong to the Āpīḍa type. Therefore, only the ‘last two syllables’ of all Pāda-s are Guru and all other syllables are fixed as Laghu. According to ChŚ and ChŚ-Jbh, Mañjarī is in the form ⑦ (a12, b8 + c16, d20) of the ‘24 types of Padacaturūrdhva(PU)’ (Table 12), Lavalī in the form ⑰ (a16, b12 + c8, d20), and Amṛtadhārā in the form ㉒ (a20, b12 + c16, d8).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VṛK and VṛK-Sbh, Manjarī is in the form ⑦ (a12, b8 + c16, d20) of the ‘24 types of Āpīḍa’(Table 14), Lavalī in the form ⑨ (a12, b16 + c8, d20), and Amṛtadhārā in the form ⑩ (a12, b16 +c20, d8).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U ⑦ (a12, b8 + c16, d20) and ĀP ⑦ (a12, b8 + c16, d20) in the above Table, the number of syllables is the same, but PU ⑦ is ‘one of the 24 forms of Padacaturūrdhva’, which means that long and short syllables can be used freely, while ĀP ⑦ is ‘one of the 24 forms of Āpīḍa’, so only the last two syllables of each of the four Pāda-s are long (⏤) and all others are short(∪). Based on the discussions so far, the meters of Padacaturūrdhva-Group(PC-s) are re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ChŚ and ChŚ-Jbh, the Mañjarī is the ⑦th form of the 24 types of Padacaturūrdhva(PU), the Lavalī is the ⑰th, and the Amṛtadhārā is the ㉒th.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VṛK, VṛK-Sbh and ChR, Mañjarī(Kalikā) is ⑦th form of ‘24 types of Āpīḍa(ĀP)’, Lavalī is ⑨th, and Amṛtadhārā is ⑩th of Āpīḍa. The forms of the seven meters of Padacaturūrdhva-Group discussed so far are as foll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