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상허 이태준은 우리 문학사에 근대 최고의 문장가로 기록된다. 1930년대 대표 소설가로서 활발한 창작 활동을 이어가고, 잡지 『문장』을 창간하여 수많은 문인을 배출하는 등 우리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회화성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소설 세계를 완성하며 문학과 미술의 상관성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그가 작성한 미술비평문은 다른 작품에 비해 활발하게 연구되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1930년대 우리 화단은 우리의 정체성을 찾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다. 서양화의 도입 이후 조선의 예술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이어갔기 때문이다. 문학의 회화성에 관심을 두었던 이태준은 화단의 논쟁과 비평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자신의 예술 의식을 드러냈다. 창작자이자 이론가로 문학이 갖는 속성을 고민했던 그는, 문학과 미술이라는 장르를 비교하며 문학 속에 드러나는 회화성에 대한 고민을 이어간다. 동시에 당시 화단이 나아갈 지향점을 밝히며 조선의 예술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찾고자 노력하며 다양한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이런 고민은 그의 예술세계를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태준이 남긴 6편의 미술비평문을 중심으로 그의 예술 의식을 확인하고, 그가 지향하고자 했던 예술세계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Lee Tae-jun is known to be the best writer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s a leading novelist in the 1930s, he pursued his creative activities and published the magazine “Sentence” that discovered many writers. In particular, he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art and literature by achieving his own personal style of novels based on pictorialness. Nevertheless, there has little research on his art criticism. In the 1930s, Korean artists sought to answer the question of the Korean identity. After the introduction of Western-style painting, artists trie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Joseon's art and find how to express it. As he was interested in the pictural style of literature, Lee Tae-jun actively participated in debates and critical activities led by artists, thereby expressing his artistic awareness. He reflected on the right direction of the Joseon's art, seeking to define Joseon's art. As a result, he was able to form his own art world.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his artistic awareness based on six art critiques Lee Tae-jun left us and look into the art world that he wanted to pur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