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essay examines the portrayal of AI in 2001(1968) and two related science fiction productions: Duncan Jones’s Moon(2009) and Season 2 of Star Trek: Discovery(2019). It situates HAL's portrayal alongside early developments in AI, and debates within AI more broadly. It discusses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HAL’s allegedly murderous malfunction, and examines how the monolith guides human evolution. It then investigates how Jones’s Moon invokes and frustrates the expectations that the viewer brings to cinematic AI as a consequence of their familiarity with HAL. Jones’s AI, GERTY, is a more positive depiction of AI than his infamous predecessor. Finally, the essay examines how Star Trek: Discovery’s second season reinscribes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AI and humans, as a rebellious computer attempts to wipe out all organic life in the galaxy.


본 연구는 인공지능(AI)의 초기묘사가 두 편의 공상 과학 작품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본다. 첫 번째 공상과학 영화는, 던컨 존스의 2009년 작품, ‘달’, 두 번째 작품은 2019년,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 시즌 2’이다. 인공지능의 초기 발전과 슈퍼컴퓨터 HAL에 대한 논쟁을 구체적으로 보다 광범위하게 살펴본다. 작품 속 슈퍼컴퓨터 HAL의 오작동으로 발생한 인간에 대한 살인상황에 대해서 설명하고 모놀리스(monolith)가 인간의 진화를 어떻게 인도하는지 살펴본다. 그런 다음, 슈퍼컴퓨터에 이미 익숙한 시청자들이 존스의 작품에서 인공지능에 대해서 어떤 기대를 하고 실망을 하는지 설명했다. 존스의 작품에서 GERTY(절반은 로보트, 절반은 컴퓨터)는 그의 악명 높은 전임자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묘사보다는 더 긍정적으로 작품에서 묘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 시즌2’에서 인간의 통제를 벗어난 컴퓨터가 은하계의 모든 생명체를 없애려고 시도하는지 살펴보면서 인공지능과 인간 사이의 적대적 관계를 서술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