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직이나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구성원 모두의 인식과 실천이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리더의 역할에 보다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대체로 조직과 집단의 문화에는 리더의 영향력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더의 자질과 역량, 즉 리더십에 대한 접근은 특정한 지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자신 모두에 해당되는 것으로 폭넓게 탐색될 필요가 있다. 현대인은 모두 사회적 존재로서 어떤 집단이나 조직에 속해있거나 언젠가는 속하게 될 수밖에 없는 리더이자 팔로워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리더십이 보다 장기적인 교육으로 모색될 필요를 의미하기도 한다. 미래를 지향하는 사회일수록 알 수 없는 미래사회를 그려나가기 위해 인간이 축적해온 지혜를 돌아본다. 그 가운데 인격의 도야를 인생의 제일 가치로 삼은 유학은 ‘사람다움’및 ‘리더다움’에 대한 성찰적 태도를 중심으로 하는 ‘성학(聖學)’의 연구와 실천에 많은노력을 기울여왔다. 오늘날 리더십 분야에서 새롭게 강조되고 있는 이론 중 하나인 ‘성찰적 리더십’과 인성에 기반한 리더십교육의 필요성은 유학의 오랜 고민의 산물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 그 중 실천적인 기초로 사색되고 활용 될 수 있는 옛거울 중에 하나가 바로 퇴계(退溪)가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 손수 써서 엮은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리더십과 관련하여 현대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공감능력과 역지사지의 마비증상을 동반하는 ‘오만증후군’의 문제에 있어서도 성학(聖學)의 기초가 되는 수신(修身)의 리더십은 실제로 유의미한 사색의 주제이자 처방이 될 수 있다. 특히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일상적ᄋ실천적 리더십의 관건이 자기주도적으로 행해지는 끊임없는 성찰이라고 할 때, 시적 정수와 엮은이의 진심이 오롯이 담긴 『고경중마방』은 ‘성찰적 리더십’교육에 있어 ‘되새김질하는 공부’의 본보기로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고경중마방』을 통해 재고해본 인성기반 리더십교육의 한 방향은 날마다 자신을 새로이 해나가는 수신과 혁신의 현대적 적용이자 실천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cognition and contribution of all the members of a society are instrumental in solving organizational or social problems. In this context, leaders play the most influential role. In general, they greatly influence the culture of organizations and groups. However, approaches to leadership need to be extensively explored as their consequences are applicable to all. This is because all modern people are social beings who fall into the category of either leaders or followers, such that they eventually become a part of a group or organization. Furthermore, research related to leadership needs to be approached educationally. The more future-oriented a society is, the more it reflects on past wisdom. In this aspect, Confucianism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Sage Learning(聖學)”that focuses on reflective attitudes toward “umanity”and “leadership.” Newly emphasized theories, such as “reflective leadership”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leadership studies can be directly related to “Sage Learning.” Among these theories, one of the “old mirrors” that can be considered and used as a practical basis is the Gogyeongjungmabang(古鏡重磨方) which Toegyewrote to reflect on himself. Self-cultivating leadership can constitute a significant theme and prescription for the problem of hubris syndrome. In particular, when the key to daily and practical leadership needed bymodern society is self-directed reflection, Gogyeongjungmabang, which contains the poetic essence and sincerity of the party involved, constitutes a significant example of “reflective leadership” education. One direction of personality-based leadership education that has been reconsidered through Gogyeongjungmabang is themodern application and practice of self-cultivation, which renews its practitioner every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