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과목으로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이 교육학 수업 수강을 통해 경험하는 것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육학 수업의 교양교육적 의의와 발전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학생들은 평생학습자로 나아가는 첫 단계로 전공 분야와 상관없이 누구나 교육에 대한 탐구가 교육과정 안에서 충분히 경험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권 소재 4년제 A대학교에서 핵심교양과목으로 운영하고 있는 <인간삶과 교육> 교과목 수업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2020년도 2학기에 해당 과목을 수강한 비사범계열 1~4학년 대학생 44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이들이 총 10회에 걸쳐 작성한 성찰저널과 이중 면담에 동의한 7명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양과목으로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의 교육학 수업 수강 경험으로는 ‘학습에 관한 지식과 실천 통합하기’, ‘무관심했던 것에 ‘왜’ 질문하기’, ‘교육적 대안 상상하기’, ‘공감과 차이 주고받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범주화되었다. 그리고 비사범계 대학생들이 인식한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 수강 경험의 의미로는 ‘진정한 배움의 목적 발견’, ‘부정적 자아인식의 비판적 수용’, ‘교육 변화를 위한 연대의식’, ‘교육 현상에 관한 주관적 의견 표현의 자신감’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이 비사범계열 대학생들에게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기르는 지적 성장 도모, 교육 경험을 해석하는 개념적 수단 제공, 교육 문제해결을 위한 민주적 소통의 장이라는 교육적 의의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에 대한 후속 연구과제와 대학에서의 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non-education major students experience in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an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Regardless of their maj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the exploration of education in their curriculum as a first step towards becoming lifelong learners. In this study, the “human life and education” class, operated as a key liberal arts course by University A in Chungcheong Province, was selected as an exampl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20, 44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class. The students wrote 10 reflection journals according to the topic, and seven applicants engaged in personal or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of this study, non-education major students’ experiences in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were categorized as "integrating knowledge and practice on learning", "asking ‘why’ questions about things they were not interested in”, "imagining educational alternatives", and "exchanging empathy and differences”. Furtherm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ducation studies for them can be defined as "discovery of true purpose of learning", "critical acceptance of negative self-awareness", "solidarity for educational change", and "confidence in expressing subjective opinions on educational phenom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