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저경력 초등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밀레니얼세대인 저경력 초등교사는 기존 세대와는 다른 성장 배경을 지니며, 특히 민선교육감 시기에 교직생활을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경직되고 권위적인 교직문화와 다른 교직사회화를 경험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저경력 초등교사는 민주성, 공동체성, 자율성의 영역에서 서로 다른 내용과 수준의 임파워먼트 경험을 하였다. 피면담자 중, 일부는 부임한 학교에서 자신의 목소리가 묵살되는 일련의 경험을 통해 더 이상 자기 의견을 개진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으나, 또 다른 일부는 그와는 정반대의 경험을 통해 민주적인 학교운영에 직접 참여할 수 있었다. 한편, 학교장의 리더십을 통하여 임파워된 경험을 한 교사 사례는 거의 없었고, 오히려 동료(선배)교사와 함께 참여한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교사공동체를 통하여 긍정적인 성장의 경험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피면담자들은 교사 개개인의 장점과 자율성에 기반한 교육활동이 임파워되는데 중요하다고 보았는데, 아쉽게도 학교현장에 존재하는 관행, 제도, 형식으로부터 제약을 받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저경력 초등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후속연구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low-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eacher empowerment. Currently, low-career teachers who are classified as millennials have a different growth background in comparison with older generations. In particular, since low-career teachers began their teaching career during the very first time of the elected superintendent, they experienced socializ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a situation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chool culture. This study found that low-career teachers experienced empowerment differently by the degree of democracy, community, and autonomy of the school. Some of the interviewees experienced democracy through participation in school management. Some others experienced that their voices were turned down. They then did not try to voice their opinions anymore. However, this study could not find that principal's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teacher's empowerment. The low-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rather tended to feel empowered from teacher community. It was also found that practices, institutions, and forms with which schools force teachers to conform made them feel lethargic in exerting their strengths and autonomy on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made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