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호모 플라뇌르(Homo Flaneur)’라 불러도 좋을 ‘산책하는 사람’에 관한 일련의 연구에 따라 기획된 것으로서, ‘생태 친화적 거주함’의 의미와 가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생태 친화적 거주함’의 본질적 의미를 건축 공간과 산책 행위의 연관성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논의 과정은 크게 두 측면으로 구성된다. 먼저, ‘생태 친화적 거주함’을 위한 건축 공간에 대한 탐구, 다음으로, ‘생태 친화적 거주함’을 위한 산책 공간에 대한 탐구로 나누어진다. 첫째, 건축 공간에 대한 탐구의 측면에서는 하이데거의 거주함과 건축함의 ‘사이’에 대한 사유에서 논의를 시작으로 그가 ‘하나의 건축된 사물’로서 특별하게 예시로 든 ‘다리’에 관한 숙고에 주목하고, 그의 논의에서 ‘생태 친화적 거주함’의 공간적 의미를 확대 해석한다. 후자, 산책 공간에 대한 탐구의 측면에서는 소로가 그의 사상과 삶을 통해서 특별한 의미로 부각시킨 ‘야생 자연’에 주목하면서, ‘자연의 거주자’로서 ‘야생 자연’에서 산책함의 의미를 해석하고, 문명 세계의 차안과 피안의 ‘사이’에서 야생으로 건너가는 사유를 통해 문명과 야생 자연을 구제하는 ‘생태 친화적 거주함’의 실천적 의미를 확대 해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according to a series of studies on “walking person,” also known as “Homo Flaneur,” and aims to clarify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concept of “dwelling in eco-affin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essential meaning of “dwelling in eco-affinity” in the connetcion between architectural space and walking behaviors. The discussion is divided into two aspects. The first is an exploration of an architectural space for “dwelling in eco-affinity”, and the second is an exploration of a walking space for ural space for “dwelling in eco-affinity”. First, in terms of the exploration of architectural space, the discussion considers the “between” of Heidegger’s concepts of dwelling and architecture, as well as Heidegger’s special exemplification of the “bridge”, and expands the spatial meaning of “dwelling in eco-affinity” from these ideas. Second, in terms of the exploration of walking spaces, the discussion considers “wild nature” of Thoreau’s concept of wildness which was given special meaning through his thoughts and life,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taking a walk in “wild nature.” Then, this discussion expands and interprets the practical meaning “dwelling in eco-affinity”, as a means of saving civilization and wild nature through the thought of crossing from these and those of the civilized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