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가로수로 식재 한 메타세쿼이아 214본을 대상으로 시각적 활력 평가와 형성층전기저항계(JunsMeter)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시각적 활력 평가로 경북 예천군에서는 모든 활력 단계를 관찰하였고, 상주시에서는 ‘매우 양호’와 ‘양호’ 단계만 나타났다. JunsMeter의 측정평균값은 예천(75.48)보다 상주(86.99)에서 높았다(P=0.01). 방위별 JunsMeter 측정에서는 예천군의 서쪽(71.29)에서 가장 낮았다. 예천과 상주에서시각적 활력 평가로 구분한 3개 그룹과 JunsMeter 측정값과 일관되게 나타났다.


We used a field ohmmeter (JunsMeter) to compare the visually-inspected vitality of 214 street trees of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While all the vitality groups were observed in Yecheon, only ‘very good’ and ‘good’ groups were shown in Sangju.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JunsMeter values between Yecheon (75.48) and Sangju (86.99) (P=0.01). The JunsMeter values from west directions in Yecheon showed the lowest ones (71.29). The three vitality groups through visual inspection were similar to those through JunsM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