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논문은 목적은 중년여성의 침투적 반추와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 회피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로 자료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연구조건에 적합한 348명의 자료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초통계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21.0과 AMOS 23.0을 활용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침투적 반추, 경험 회피 및 우울은 의미 있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침투적 반추와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 회피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모형인 부분 매개모형과 경쟁모형인 완전 매개모형을 설정하였다. 이 두 모형을 비교한 결과, 완전 매개모형이 더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년여성의 침투적 반추가 경험 회피를 매개로 우울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우울을 경험하는 중년여성에게 상담적 개입을 할 때 침투적 반추와 경험회피를 경감할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xperiential avoidance has an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depression of middle aged women.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48 of middle aged wom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usive rumin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xperiential avoidance and the depression. The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pression. Second, setting and comparing research model and competitive model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rusive rumination and the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usive rumination affects the depression through the experiential avoid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