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학교적응의 연구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지식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교적응과 관련된 국내 연구에서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연구논문들 중 243편의 논문의 키워드 661개를 추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extom과 UCINET 6로 분석하였고, 전체 및 시기별, 대상별 네트워크별로 키워드간 구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 연구방법, 주요변인인 교우관계, 교사학생관계 등이 연구의 핵심주제로 나타났으며, 개인, 가정, 학교로 관련변인이 세분화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시기별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시기 1에서 시기 2를 지나면서 연구의 방향이 적응적, 개인적, 심리적 변인으로 옮겨갔으며, 종단 및 관계 연구로 연구방법이 확대되었다. 셋째, 대상별로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네트워크에서 각각 다문화, 우울, 학업중단이 핵심주제로 나타났으며, 중・고등학생 네트워크에서는 학교부적응, 스트레스, 질적연구가 핵심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분석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적응 연구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school adjustment in Korea and to understand the knowledge structure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In domestic studies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661 keywords of 243 papers were extracted from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01 to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extom and UCINET 6, and the structure between keywords was analyzed in dept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ntire network, the research method, the main variables such as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 student relationship were found to be the core subjects of the study, and the related variables were subdivided into individuals, families, and schools. Second, in the network analysis by period, the direction of the study was shifted to adjustment, person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from period 1 to period 2, and the research method was expanded to longitudinal and relation research. Third, multiculturalism, depression, and school interruption were the key topics respectivel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etworks, and school maladjustment, stress,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the key topic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etwork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school adjustment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