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성취동기 간의 관계에서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6차년도(T1, 2016, 중학교 3학년)부터 8차년도(T3, 2018, 고등학교 2학년)까지 참여한 다문화가정 청소년 1,168명을 분석하였다. 변인들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직렬다중매개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3학년 시기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성취동기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사회적 지지와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성취동기 간의 관계에서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직렬매개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 이중문화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종단적인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네 가지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serial multiple mediating rol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this study, 1,168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6th to 8th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dolescents during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elf-esteem during the 1st grade of high school and achievement motivation during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via self-esteem during the 1st grade of high schoo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during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achievement motivation during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These findings provide a theoretical insight in to the mechanism and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influencing achievement motivation, by revealing the serial mediating rol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elf-e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