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71명(남 153명, 여 21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주요 변인들의 관련성을 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 거부민감성, 자기침묵 모든 변인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경로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순차적인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을 줄임으로써 대인관계문제를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고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internalized shame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71 university students(153 males and 218 fema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relevance of the main variabl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of internalized shame, interpersonal problems,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path of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 there was a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personal problems can be mitigated by reducing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subsequent studies were describ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