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현실 및 사이버 비행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자율성지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 데이터 중 중학생 2,543명의 응답을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부모의 자율성지지, 중학생의 현실 및 사이버 비행 간에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현실 비행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자율성지지 조절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사이버 비행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자율성지지 조절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첫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현실 및 사이버 비행을 완화하기 위하여 기능적인 양육태도 중 하나인 부모의 자율성지지를 증진시켜야 한다. 둘째, 스마트폰 의존도를 완화하기 위한 가정, 학교, 국가의 다차원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사이버 비행에 많은 관심을 갖고, 관련 교육 및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e effec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and real-world and cyberspace devi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2,543 data from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re are correlations among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real-world and cyberspace devi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ructural moderator effect model showed that parental autonomy support mediates the link between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and real-world devi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al autonomy support mediates the link between dependence on the smartphone and cyberspace devi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se findings imply that parental autonomy support should be enhanced to alleviate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ency on smartphones and real-world and cyberspace deviation. Multi-dimensional approaches by families, schools, and the country are needed to alleviate dependence on smartphones. Last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 further study and education for them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