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유형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해행동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3개 중학교에서 71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청소년의 인지정서조절전략 사용에 대한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시행하였고, Mplus의 BCH 보조변수를 활용하여 도출된 프로파일에 대한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해행동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표집을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준에 따라 ‘전략부재 집단(3.77%)’, ‘과소전략 집단(11.72%)’, ‘적응전략 집단(11.86%)’, ‘일반전략 집단(57.46%)’, ‘과다전략 집단(15.20%)’의 총 5개의 각기 잠재적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Mplus의 Wald chi-square 분석결과, 이들 5개 집단은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해행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자해행동을 줄이기 위한 노력에 대한 제언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daily stress responses and self-harm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of adolescents. For the study,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from 714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and conducted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the use of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Then, profile differences on the level of daily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was examined by using the Mplus BCH func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of adolescents, the sample was classified into 5 latent groups including the 'strategy-absent group (3.77%)', 'strategy-underuse group (11.72%)', 'adaptive-strategy-use group (11.86%)', 'general-strategy-use group' (57.46%) 'and ‘strategy-overuse group (15.20%)’. Wald chi-square differences derived from Mplus revealed that these 5 group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daily stress response and self-harm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lowering self-harm behaviors in educational setting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