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Nik 등(2018)이 개발한 온라인상의 사회적지지를 측정하는 ‘온라인 사회적지지 척도(Online Social Support Scale; OSSS)’의 한국어 번안 및 타당화를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715명(1차 310명, 2차 40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N=310) 및 확인적 요인분석(N=405)을 실시한 결과, 원척도와 동일한 4요인 구조, 존중/정서적지지, 사회동반자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가 확인되었으며, 적절한 신뢰도 수준(.93~.95)을 보였다.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해 사용된 사회적지지 척도, 관계성 욕구만족척도와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사용된 사회적지지 척도와의 상관크기 및 사이버폭력 피해경험 척도와 K-OSSS의 유의한 정적상관, 사이버폭력 피해경험과 사회적지지의 부적상관을 제시하였다. 또한,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사이버폭력 피해경험과 사회적지지 사이에서 K-OSSS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apt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Online Social Support Scale (K-OSSS) developed by Nick et al. (2018) to measure online social suppor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31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N=405) were conducted through online surveys on 715 college student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The results showed the same four-subscale structure as the original scale, such as esteem/emotional support, social companionship, informational support, and instrumental support, with adequate levels of reliability (.93–.95).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scale used to verify convergent validity and the relational needs satisfaction scal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scale used to verify discriminant validity and the experience of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scale and the K-OS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and social support. Moreover, there was also a moderating effect of the K-OSSS between the experience of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and social support to verify the criterion validit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