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句日記』는 18세기 문인 洪百昌(1702~1742)이 30대 중반 지은 금강산 기행시집이다. 본고는 『구일기』 서문에 나온 창작의식에 의거하여 『구일기』를 분석하되, 한편으로는 홍백창이 주창한 시적 지향에 주목하고 다른 편으로는 기행시와 기행산문의 관련 양상에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홍백창은 『구일기』에서 시의 성률과 격조보다 핍진성을 중시하고 있다. 또, 『구일기』는 금강산 총서인 『東遊記實』 안에서 기행일기인 『文日記』와 짝을 이루어 기행시와 기행산문의 유기적 관계를 조명하는 단초가 되고 있다. ‘구일기’는 시로 쓴 일기라는 뜻으로, 『동유기실』 내에서 산문으로 쓴 일기라는 뜻의 ‘문일기’와 표리가 된다. 『구일기』와 『문일기』는 창작의식에서부터 시와 산문의 관계를 표리로 설정하여 제목의 짝을 맞추고 시를 일기에 맞게 기행순서대로 배열하여 서로의 관계를 밀접하게 연결시키고 이를 하나의 총서 속에서 엮어내고 있다.


Guilgi(句日記) is a Mt. Kumgang travelogue written by Hong Baek-chang(洪百昌) in his mid-thirties, an eighteenth-century writer. This article analyzes Guilgi based on the creative consciousness mentioned in the preface of Guilgi, while on the one hand focusing on Hong Baek-chang’s poetic-oriented advocacy, and on the other hand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ed aspects of travel poetry and travel prose. In the preface of Guilgi, Poet Hong Baek-chang, advocated a new literary tendency with criticism towards the existing literary tendencies of the time. Hong Baek-chang’s poetics revealed in Guilgi can be summarized as a break from rhythm and tone, while prioritizing verisimilitude. Next, Guilgi can be paired with Munilgi(文日記), a travelogue within Dongyugisil(東遊記實), which can be the beginning for illuminat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ravel poetry and travel prose. ‘Guilgi’ signifies diary written in poetry, which has duplicity with ‘Munilgi’ that refers to diary written in prose within Dongyugisil. Guilgi and Munilgi establishes a duplicity relationship from the creative consciousness, thereby pairs their titles, closely interrelates the correlation by arranging the travel sequence to match the poetry to the diary, and by weaving them into a series.